[기술한류] 필리핀 `한국` 기술로 홍수 재해 줄인다

마닐라 시민이 소모하는 물의 60% 이상을 공급하는 최대 수원지 `팔마사 댐`에 설치된 AWS앞에서 기상청 직원들이 엄지를 치켜들고 있다.
마닐라 시민이 소모하는 물의 60% 이상을 공급하는 최대 수원지 `팔마사 댐`에 설치된 AWS앞에서 기상청 직원들이 엄지를 치켜들고 있다.

차로 1시간을 달리는 동안, 해가 나는가 싶더니 다시 장대같은 비가 쏟아지기를 몇 번 반복한다. 부쩍 잦아진 필리핀의 빗줄기는 더 굵어졌다. 지난 달 초 열흘간의 폭우로 수도 마닐라의 60%가 물에 잠겼다 다시 복구 중인 마닐라 시내 하늘은 여전히 변덕스럽다. 이곳의 우기(6~9월)는 더욱 예측하기 어려운 재해의 계절이 되어가는 중이다.

지난 2009년 온도이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던 마리키나 강 유역에 한국인 직원들이 측량 및 관측 장비를 설치하는 모습.
지난 2009년 온도이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던 마리키나 강 유역에 한국인 직원들이 측량 및 관측 장비를 설치하는 모습.

지난 2009년 9월 필리핀을 강타한 태풍 `온도이(Ondoy)`는 마닐라 시내 마리키나강 상류를 포함해 주변 도시까지 포함하는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 전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500명의 사상자를 내고 490만명의 시민이 수해 피해자가 됐다. 필리핀 정부가 재해 예방 및 조기 경보시스템 구축을 위해 한국 정부에 지원을 요청한 것은 이 때다.

온도이는 그나마 남아있던 기상 관측 장비들을 휩쓸어갔다. 수도권 전체 재해 예·경보 시스템이 마비됐던 것이다. 이듬해인 2010년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국내에서 관련 시스템 개발 경험을 갖춘 SK C&C와 메트로 마닐라 지역에 기상 관측 시설을 새롭게 세우고 재해 조기경보 및 대응 시스템 구축을 시작한다. 한국기상청(KMC)은 사업 관리와 감리를 하는 프로젝트관리컨설턴트(PMC)를 맡는다.

◇필리핀, 온도이 강타 후…한국에 SOS=필리핀 최대 정치·경제 중심지인 메트로 마닐라 지역 상주인구는 약 1200만명에 달한다. 연간 20회 가량의 태풍과 2~5번의 홍수가 찾아온다는 필리핀의 기상 이변에는 예고가 없다. 1년 강수량이 2500mm로 한국의 2.5배다.

3년 전 온도이는 42년만의 기록적 폭우를 동반했던 수도 마닐라 지역이 90% 가까이 물에 잠겼다. 폐허가 된 도시 피해도 컸지만 문제는 갑작스런 폭우가 필리핀 전역에 점차 잦아들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달 초에도 우리나라 연간 강수량의 20%에 해당하는 비가 이 곳에서 하루만에 쏟아졌다.

수위계는 이처럼 주로 다리위에 설치됐으며, 강의 수위를 10분마다 측정해 기상청 서버로 보낸다.
수위계는 이처럼 주로 다리위에 설치됐으며, 강의 수위를 10분마다 측정해 기상청 서버로 보낸다.

온도이가 휩쓴 마닐라 지역은 재해복구 작업과 함께 재해 예방 및 조기 경보 시스템을 필요로 했다. 잦아지는 기상 재해로 피해가 늘어나고 있지만 특성상 미리 예측하기 어려워 빠른 파악과 순간의 대응이 강 유역 주민들의 생사를 갈라놓는 상황이었다. 막시모 페랄타(Maximo Peralta) 필리핀 기상청 과학&기술 부문 날씨서비스 주임은 “즉각적으로 상황을 인지함은 물론 이를 즉시 시민들에게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필리핀 기상청(PAGASA)은 파식-마리키나강 유역 등 메트로 마닐라 주요 범람 지역을 중심으로 쓸려나간 관측 장비를 재구축하고 시민들이 홍수 가능성을 사전 인지할 수 있는 조기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한다. 2010년 사전 조사 작업이 진행된 이후 12월 한국국제협력단은 SK C&C로 사업자를 선정하고 이듬해 7월 시스템 구축을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지난 2월 완료됐다. 완료 예정시기였던 8월보다 6개월 가량 앞당겼다.

민다니오 거리에 장비를 설치하는 모습.
민다니오 거리에 장비를 설치하는 모습.

◇기상 정보 수집 및 실시간 분석…재해 대응 체계화=10분 단위 기상 관측 및 예측부터 모델링, 예·경보, 통신 전반에 이르는 재해 대응 통합 시나리오에 따라 △데이터 수집 시스템 △홍수 예보 시스템 △조기 경보 시스템 △라디오 통신 네트워크 등이 개발됐다. 페랄타 주임은 “기존에 `웽~` 하고 단음으로만 존재하던 홍수 알람 경고음이, 수위 정도에 따라 세 가지 다른 소리로 울릴 수 있게 됐다”면서 “예컨대 수위가 100%일 때 대피를 해야 한다고 치면, 60%와 80% 수위일 때 각기 다른 경보음이 미리 울리게 된다”고 말했다.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각 지점에 설치된 디지털 자동기상관측장비(AWS)와 우량계(RG, Rain Gauge Network), 수위계(Water Level Gauge Network)를 포함해 이들이 보내주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서버 및 DB, 스토리지로 구성됐다. 홍수 예보 시스템은 AWS가 보내준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과 실시간 모니터링 및 분석해 홍수 상황을 사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 골자다. 조기 경보 시스템은 수위에 따라 세 가지 경보를 울리고, 시민들의 대피를 권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경고음을 울리는 확성 장치 경보기(Warning Post)
경고음을 울리는 확성 장치 경보기(Warning Post)

이와 함께 20개의 경보장치(WP, Warning Post)가 설치됐으며 수위가 높아지면 기상청 PC에서 이를 모니터링하고 경보를 울리거나 끌 수 있다.

라디오 통신 네트워크는 VHF 통신을 기반으로 4개의 AWS, 7개의 우량계, 10개의 수위계, 그리고 20개의 경보장치가 상호 네트워킹되도록 한 것으로, 비상시 GSM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백업 체계까지 갖췄다. 너대니얼 세르반도(Nathaniel Servando) 필리핀 기상청장은 “지난 7월 발생한 폭우에도 이 시스템을 사용했으며, 남서계절풍과 열대 태풍 `헬렌`이 왔을 때도 사용됐다”면서 “실시간으로 수위를 온라인으로 모니터링 가능하게 됐다는 점이 큰 효과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태양광 활용 친환경·초격차 기술 구현=수위계가 보내 온 정보는 강의 범람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해 경보를 하는 데 쓰인다. 수면이 `일정 수위`을 넘기는지가 그래프로 표시돼 한 눈에 비상 상황을 알아볼 수 있다. 10분마다 각 지역에 설치된 장비의 계측·계량 정보가 기상청으로 집계돼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며, 기상청 홈페이지에서도 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모든 공공기관과 단체, 시민 등이 이 정보를 활용해 국가적 위기 대응력이 높아졌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위험 수위 도달이 예상될 경우 조기경보시스템이 스스로 방재업무담당자에게 SMS를 보내 위험을 자동 통보한다. 담당자가 최종 판단해 홍수 경고 음성 및 싸이렌이 울리고 주민들에게 재빠른 대피 상황을 알린다. 페랄타 주임은 “시스템 구축이 `사전` 조기 경보이다 보니 측정으로 인해 수위가 조금만 올라가도 경보음을 울리는 과정에서 시민들이 `너무 이르게 울리는 것 아니냐`고 할 때도 있지만 위험 지역의 시민들이 미리 대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면서 “수위 측정 및 계량 방식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가면서 정확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AWS와 수위계 등 곳곳에 위치한 장비는 전기 없이 `태양광`으로 운영된다. 모바일과 차세대 기술, 실시간 통신 및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술이 재해 대응을 위해 어우러진 것이다. SK C&C를 프로젝트관리자(PM)로 해 진양공업주식회사, 한국토코넷주식회사, 회정정보통신 등 전문 국내 기업들이 공동으로 진출해 성공적인 사례를 일궈냈다.

마닐라(필리핀)=

유효정기자 hjyo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