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 경선 모바일투표 갈등 증폭

민주통합당이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모바일 투표 문제로 다시 갈등에 휩싸였다. 제주·울산 경선에서 발신오류로 상당수 선거인단이 투표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당 모바일투표 검증조사단은 5일 제주·울산 모바일 투표과정을 조사한 결과, 당헌당규에 명시된 `5회 통과 시도` 규정을 위반해 기권표로 처리된 사례가 제주 2879명, 울산 777명 총3643표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검증단에 따르면 제주경선에서 122명의 유권자에게 단 한차례도 전화발신 시도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모두 다섯차례의 전화를 하도록 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한 차례만 발신한 유권자는 272명, 두 차례 464명, 세 차례 711명, 네 차례 1310명으로 집계됐다. 울산에서도 이 처럼 전화를 수신하지 못한 사람이 총 777명이다. 이는 총 기권 처리수(제주 1만6227표, 울산 5290표) 대비 각각 17.7%, 14.7%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손학규, 김두관 후보 등 비문(非 문재인) 진영은 경선 중단 사유가 될 수 있는 중대 사태로 규정, 강력하게 반발하고 제주·울산 뿐 아니라 나머지 지역에 대한 검증도 요구했다.

손·김 두 캠프는 △현재 모바일투표 투개표의 즉각 중단 △이미 실시된 모바일 투개표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재검표 △모바일투표 검증단의 `진상조사위원회` 전면 확대 개편 △당지도와 선관위의 대국민 사과와 선관위원장의 즉각 사퇴 등을 촉구했다.

손 후보측 김유정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일반투표 방식에 비유한다면 유권자에게 투표용지를 배부하지 않은 결정적 오류로 정당한 유권자의 투표권을 박탈한 심각한 사태”라며 “이는 제대로 된 대안없이 모바일 투표를 무조건 강행한 당지도부와 경선관리위원회에 모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측 김재윤 의원도 기자회견을 갖고 “이번 확인된 오류는 민주주의 선거원리를 침해하는 중대사태”라며 “이는 공의를 묵살하고 대안없이 모바일 투표를 강행한 당지도부와 경선관리위원회에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당 선관위 관계자는 “`5회 통화 시도` 규정을 지키지 않은 게 아니라 수신거부 등으로 인한 발신오류 사례들이 나타난 것”이라며 “현재 정밀검증을 통해 정확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