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홍수 등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범부처 대책이 나온다.
환경부는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범부처 `기후변화적응대책`을 연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환경부는 관련 13개 부처의 계획을 취합해 기존 2010년 만든 대책을 수정·보완한다는 목표다. 유엔 산하 기후변화연구기관인 `정부 간 기후변화협의체(IPCC)`의 제5차 보고서에 사용되는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시나리오를 반영한다. RCP는 첨단 기술을 활용해 IPCC 제4차 보고서에 사용된 SRES 시나리오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예측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RCP는 SRES 예측보다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 강도·빈도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전망했다.
환경부는 RPC를 반영해 총 3가지 부문에 초점을 맞춰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기후변화 피해에 취약한 계층을 우선 배려하고 분리돼 있던 부처간 역할을 합쳐 시너지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기존 중앙부처·지자체 중심의 계획을 넘어 기업·시민단체와 같은 민간부문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목표다.
환경부는 기후변화적응 대책 마련이 아직 초기단계인 만큼 우선 연구개발(R&D) 부문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정확히 분석해야 적절한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판단이다.
서흥원 환경부 기후변화협력과장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등에서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됐지만 적응 부문 사업은 비교적 적극적이지 못했다”며 “이번 작업은 지난 2010년 만든 대책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보다 효과적으로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