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업화가 실패하는 이유로 기술평가를 제대로 못하는 것과 충분한 자금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 경영 미숙 세 가지를 꼽고 있습니다.”
주성진 L&S캐피탈 대표가 한국연구소기술이전협회와 전자신문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한 한국연구소기술이전협회 창립기념 콘퍼런스에서 패널로 참석해 내놓은 얘기다.
![한국연구소기술이전협회 창립기념 기술사업화 컨퍼런스에 참석한 패널들이 기념촬영했다. 오른쪽서 네번째가 박태웅 회장.](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2/09/25/335671_20120925134002_364_0001.jpg)
주 대표는 이 행사에서 기술위주 평가서 시장 실현 가능성을 반영한 평가로 전환할 것과 투자 리스트 분산책 모색, 전체 사업 과정을 지원할 조직 육성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김길해 기술거래기관협회장은 “상품제조 마케팅에 통상 전체 예산의 30~40%를 지출하는데, 우리나라는 연구개발에는 전체 예산의 99%를 쓰면서 이를 사업화하기 위한 비용으로는 단 1%도 쓰지 않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코스닥 등록 기업에 대한 따끔한 얘기도 나왔다.
김홍철 코스닥협회 상무이사는 “코스닥 기업은 통상 12년 정도에 입성하는데 지난 2009년 이후 227개 사가 상장 폐지됐는데, 그 가운데 전기전자 IT업종이 138개사 68%를 차지한다. 기업이 무늬만 연구소를 보유한 경우도 많고, 정부는 상용화 예산이 없는 것 같다”며 정부의 직접 지원을 촉구했다.
김 상무이사는 또 “기술취득세에 대한 7%공제가 중소기업에만 해당되는데, 앞으로는 중견기업까지 확대해야 기술사업화가 활성화 될 것”이라며 기술사업화 관련 기관 정보를 모은 포털 사이트도 만들 것을 제안했다.
양원창 지식경제부 산업기술시장과장은 기술사업화가 어려운 이유에 대해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시장에 맞게 생산되어야 한다는 걸 전제로 기업과 연구기관간 시각차가 좀 있는 것 같다”며 “기업은 단기로 제품화해야하고, 출연연은 완벽한 수준의 기술과 제품을 내놓으려 하다보니 추가 R&D가 필요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 과장은 또 “출연연이 기술이전시 연구노트와 기술개발 과정의 애로사항 등 모든 정보를 문서로 이전하는 방안도 생각해 봐야 한다”며 “이와 함께 기술을 공짜로 인식해선 안 되고, 기술거래 수수료는 올려 주는 게 맞는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길해 기술거래기관협회장과 박태웅 한국연구소기술이전협회장은 지난 18일 기술이전과 기술사업화 등의 업무 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