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7일은 `산업기술보호의 날`이다. 지난 2006년 10월 27일 산업기술유출방지법을 제정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난해 지정했다. 산업보안에 대한 인식과 경각심을 되새겨 보자는 의미다.
![경기도 CSO협의회가 지난 5월 31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김동근 경기도 기획조정실장과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이규정 한국정보화진흥원 단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발족했다. 협의회는 도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사이버 위협 정보공유와 공동 대응 방안 모색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칠 계획이다.](https://img.etnews.com/photonews/1210/337184_20121003104628_062_0001.jpg)
지난해 11월에는 중소기업청과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가 `중소기업 기술지킴이센터`를 개소, 인력과 예산이 부족해 자체적으로는 기술유출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보안관제서비스에 나섰다. 온라인을 통한 기술유출이나 해킹 등 외부 공격을 차단하거나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다. 올해까지 무료 시범서비스를 실시한다.
경기도는 지난 5월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민관이 함께하는 정보보안최고책임자(CSO:Chief Security Officer)협의회를 발족했다. 약 20개 민간 보안업체 CSO가 참여하는 협의회는 보안 사각지대에 놓인 도내 중소기업의 산업기밀 유출과 개인정보보호를 지원하고, 도 차원 정보보호정책 수립을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협의회는 첫 사업으로 지난달 사이버안전기업구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매월 1개 중소기업을 선정해 보안장비와 보안교육 및 멘토링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시범사업이다. 이에 소요되는 장비와 프로그램 등은 CSO협의회 참여 기업들의 기증으로 무료 제공한다. 첫 대상 기업으로 포천에 위치한 전자칠판 제조기업 킹유전자를 선정, 설치 작업을 완료했다. 이날 현장에는 김문수 도지사가 깜짝 방문해 격려했다. 도 차원에서 중소기업 산업보안에 비상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경기도와 CSO협의회는 앞으로도 매달 약 2억원 규모 보안장비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으로 대상 기업 환경조사와 컨설팅을 진행 중이다.
사이버안전기업구축 프로젝트 수혜기업에는 보안 전담인력을 할당하고 일정기간 보안수준 유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면 보안인증 프로그램에 따른 인증기업선정 및 각종 기업지원 프로그램과 연동해 지원하는 혜택도 제공할 예정이다.
향후에는 보안 전문포럼을 발족해 수혜기업 적용사례를 발표하고 전문가 강연 및 중소기업 현장 애로기술 상담 등을 진행키로 했다. 이를 통해 도내 중소기업의 산업보안 인식 수준을 높이고 수요를 창출하는 등 `보안`을 키워드로 한 가치사슬을 형성해 나갈 방침이다.
민간 보안관제센터 설치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주 경기대가 중소기업 보안관제를 위한 `산업보안특화센터`를 개소한데 이어 단국대도 오는 10일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와 공동으로 사이버 보안관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경기도 산업보안관리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
도는 향후 이들 대학의 민간 보안관제서비스를 사이버안전기업구축 프로그램과 연계해 중소기업 지원에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이들 대학 교수를 정보보호정책 자문위원으로 영입해 중소기업 산업보안과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브레인 역할을 하는 민관학 전문가 풀을 구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단계별 보안관리체계를 구성하고 성숙도 수준을 정하는 등 보안관리 수준에 따른 관리지침도 마련할 방침이다.
김성렬 경긱도 행정1부지사는 지난달 14일 실시한 CSO협의회 참여기업 대표 간담회에서 “도청에 국 단위 정보화 전담부서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산하 시·군과 정보보호 연계체계를 강화하고 있다”며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김순기기자 soonk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