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디지털시네마` 기술 상용화

영화 촬영 이후의 편집과 상영 등에 필요한 SW를 망라한 `디지털시네마`기술이 국산화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원장 김흥남) 콘텐츠유통연구팀(팀장 윤기송)은 대형 화면 고화질 영화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시네마` 마스터링, 배급관리 및 상영기술 등 핵심 원천SW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ETRI, `디지털시네마` 기술 상용화

이 기술은 영화후반작업 전문업체 SDL 등 네 개 기업에 기술이전돼 부산국제영화제(BIFF 2012) 출품작 `마이 라띠마`를 비롯한 30여편의 국내 영화에 적용됐다.

`디지털시네마` 기술은 고화질 디지털 영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W 기술이다. 디지털 영화 파일을 제작하는 디지털 마스터링과 저작권보호 기능을 적용한 영화 배급관리, 고화질로 영화를 상영하는 디지털 상영 SW가 핵심이다.

연구진은 소니나 돌비 등 해외 경쟁사 제품에 비해 제작 소요시간이 평균 15% 정도 빠르다고 설명했다. 상호 호환성이 뛰어나고 범용 서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가격면에서도 경쟁사 SW 제품이 2억원대인 반면에 ETRI는 절반인 1억원이면 기술 제공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문화체육관광부 첨단 융·복합 콘텐츠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윤기송 팀장은 “국내·외 특허 20건을 출원하고 4개 업체에 2억7000만원 규모 기술 이전도 완료한 상태”라며 “그동안 외산이 장악했던 시장을 되찾는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