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에서 유일한 국립대이자 기술인재 양성의 산실인 경북대가 요즘 시끄럽다.
지난 7월 함인석 총장이 총장직선제를 폐지하는 내용의 개정학칙을 공포에 대학 교수회 측의 반발이 발단이다. 교수회는 지난 6월 진행한 교수총투표에서 `총장직선제 존치·개선`이라는 결과가 나왔지만 함 총장이 이를 전면 부정하고, 총장직선제 폐지를 독단적으로 밀어붙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총장직선제를 둘러싼 갈등의 불씨는 일파만파 번지고 있다.
교수회는 학장과 본부 보직자 임명 등이 총장 독선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비난했다. 본부가 추진하는 미래융복합캠퍼스 건립사업도 재정계획이 부실하다며 강력 반발했다. 대학과 관련된 모든 사업에 대해 본부와 교수회가 대립각을 세우는 모양새다.
급기야 총장직선제 논란은 교수회의 실력행사로까지 이어졌다. 교수회는 15일 오전 대구지방법원에 함 총장의 학칙개정 처분에 대한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했다. 이날 오후에는 대학 국정감사가 진행되는 장소에서 고등교육 악법 철폐를 주장하는 결의대회를 열었다. 결의대회서 교수회는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함 총장의 퇴진을 요구했다.
문제는 사안의 옳고 그름을 떠나 총장을 중심으로 한 본부와 교수회가 서로 등을 돌린 채 사태 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전혀 없다는 점이다. 본부 보직자는 총장의 눈치를 보느라, 교수들은 다른 의견이 있어도 교수회에서 따돌림을 당할까, 어느 누구도 사태해결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
이번 사태로 생긴 손실은 대학과 학생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 중·장기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대학의 각종 사업들이 암초에 부딪히고, 인재육성 프로그램도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경북대는 지난 수십년 간 국내 최대 기술인재 양성 요람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물론 총장을 `어떻게 뽑을 것인가`라는 문제는 대학의 자율성과 교육공공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하지만 양보와 타협의 노력 없이 벌이는 소모적인 다툼은 연구개발과 인재양성이라는 대학 본연의 기능에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한다.
우선 양측은 만사 제쳐놓고 얼굴부터 맞대야 한다. 욕심을 내려놓고 대학 발전을 위한 길이 무엇인지 함께 만나서 고민해야 한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
-
정재훈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