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세계 원자력 및 방사선 엑스포`에서는 전시와 함께 한국 원자력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기 위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된다.
작년 후쿠시마 원전사태 이후 자연재해에 대한 원전 방호대책이 이슈였다면, 올해는 최근 원자력 산업계의 불미스런 사건과 불시정전에 대한 대안들이 다양한 시각으로 제시될 예정이다.
행사 첫날인 31일에는 한국원자력학회가 정책토론회를 개최해 논의의 포문을 연다.
원자력 정책과 연구개발, 안전성 등 주요 국정 이슈를 논의한다. 정책 수립과 집행, 범국민적 소통을 통해 차기 정권의 원자력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오후에는 `에너지미래교수포럼 열린 토론회`와 `2012년도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진흥 연차대회`가 열린다.
에너지미래교수포럼에서는 미래에너지의 대안을 주제로 원자력과 방사선을 종합점검한다. 특히 원자력의 에너지 역할을 넘어 경제적·정치적·사회적 측면에서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후쿠시마 이후 국내 원전 변화도 되돌아본다.
한국동위원소협회가 주관하는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진흥 연차대회`에서는 국내외 방사선기기 기술과 산업전망, 표준화 현황을 소개한다. 특히 동남권 방사선의과학특화단지의 인프라 구축현황과 민간기업 유치방향을 소개, 관련 기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정책논의 이외에도 업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기술이전 설명회도 열린다. 교육과학기술부 주최로 전북도청이 전라북도 투자유치 설명회를 진행해 인센티브 지원제도 및 투자 제안부지 등을 소개한다. 또 기술이전을 위한 △암세포 노화마커 및 노화조절유전자 발현 △의학에 사용가능한 이중 조영제 조성물 △방사선융합기술 △방사선기기 및 사이클로트론 응용 등 다수의 기술이 소개된다.
방사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해소 자리도 마련된다. 대한방사선방어학회는 `방사선 안전교실`을 열어 우리 생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원자력과 방사선 기능을 설명한다.
이밖에도 `한국비파괴검사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방사선산업학회 추계학술대회`, `원전 방사선 안전관리 워크숍`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