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전시 전략 수립에 빅데이터 분석 적용 추진

국방부가 독자적으로 빅데이터 분석에 나선다. 빅데이터 분석이 민간 기업에 이어 공공분야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국방부는 행정안전부와 서울시에 이어 이르면 내년부터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적용 범위와 방법에 대한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한다.

국방부가 빅데이터 분석에 적용할 데이터는 영상과 음성이다. 그동안 열영상장비(TOD)나 CCTV 등을 통해 산출되는 영상과 음성 데이터는 해당 부대 내에서 처리하는 수준에 그쳤다. 전 군 차원의 통합적인 빅데이터 대응 전략이 없어 부대 내 빅데이터 분석 사업을 진행하지 못해왔다.

국방부는 오는 2014년 가동하는 국방통합정보관리소와 연계, 빅데이터 대응 전략을 수립할 방침이다. 국방통합정보관리소가 가동하면 기존 77개의 전산소를 2개로 통합함에 따라 영상과 음성 데이터의 물리적 통합이 가능해진다.

국방부 관계자는 “아직은 빅데이터 대응을 위한 초보적인 단계”라며 “내년 연구용역을 실시해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범위와 분석 방법, 활용방안 등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빅데이터 분석이 이뤄지면 전시 전략 수립이 한층 과학화될 전망이다.

행안부는 앞서 정부부처 등 공공기관이 빅데이터를 활용, 정책수립과 맞춤형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공통기반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11월부터 내년 3월까지 빅데이터 공통기반 구축을 위한 시스템 개념과 구성요소를 도출한다. 서울시도 내년부터 400여종의 산재된 정보시스템에서 산출되는 데이터를 통합,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데이터 뱅크 구축에 착수한다.


주요 공공기관 빅데이터 대응 현황


자료:각 기관 종합

국방부, 전시 전략 수립에 빅데이터 분석 적용 추진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