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람]박태웅 초대 한국연구소기술이전협회장

“기술사업화를 위해선 자체 재원 확보가 우선돼야 합니다. 현재 시스템으로는 상황에 맞는 효율적인 대응이 어렵습니다.”

박태웅 초대 한국연구소기술이전협회(이하 연기협) 회장(ETRI 연구위원)은 정부출연 연구기관 기술이전조직(TLO)의 부실한 예산에 날을 세웠다. 전체 R&D의 0.2~0.3%도 안 되는 기술 마케팅 예산을 늘리는 일이야말로 공공 R&D성과 확산과 산업화 촉진을 위한 선결 과제라고 주장했다.

[이사람]박태웅 초대 한국연구소기술이전협회장

연기협은 지난달 지식경제부로부터 법인 설립 인가를 받고 활동에 들어갔다. 정부부처 산하 연구기관 24개와 민간 연구소 및 특별회원 각 1개 등 총 26개 기관이 창립멤버로 참여했다.

박 회장이 처음부터 기술사업화 업무에 관심을 갖고 있었던 건 아니다. 지난 2000년 기술벤처창업이 활발하던 시절 ETRI 기술평가센터 설립을 주도하면서 이 업무에 빠져들게 됐다. 벤처기업 기술력 평가부터 사업화 컨설팅, 기술가치 평가와 기술지주회사 설립까지 웬만한 일은 다 겪어봤다. 기술 사업화에 관한한 `빠꿈이`로 통하는 이유다.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개발한 기초 및 원천기술과 선도기술이 산업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자원과 시간 투자가 반드시 뒤따라야 합니다. 기술 사업화 시스템과 생태계도 지속 개선해야 합니다.”

박 회장은 국가가 예산을 투자해 개발한 기술이 사업화로 넘어가는 것을 막는 주요 걸림돌로 세 가지 `갭`을 꼽았다. 탈추격형 또는 선도형 연구개발 기술과 상용 제품 간 기술적인 갭과 신기술 제품이 시장 수요와 맞아 떨어지는 시장 및 타이밍 갭, 고위험 비즈니스에 소요되는 자금 수요와 공급 간 발생하는 투자 갭을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에 따라 출연연의 사업화 정도가 달라질 것으로 분석했다.

박 회장은 “이런 사업화 갭, 즉 장애요인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사업화 시스템과 생태계의 지속적인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며 “기술 공급자-수요자-중개자-촉진자 간 네트워킹 활성화와 시장 메커니즘 고도화가 이뤄져야 할 때”라고 설명했다.

“출연연 조직과 소속도 전부 제각각입니다. 전문성이 어느 조직보다 필요한 곳인데 보통 2년마다 보직 순환합니다. 담당자가 수시로 바뀌니 기술적인 분석이나 네트워크가 제대로 될 리 없지요.”

박 회장은 기술과 제품, 기업과 시장을 이해하고 사업화를 추진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도 시급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박 회장은 앞으로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전문부서들의 허브(구심점) 역할을 연기협이 수행하도록 할 것”이라며 “향후 기술이전·사업화 시스템의 우수사례 발굴이나 관련 법체계 개선, 유관기관 간 상시 협력체제 구축 등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