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양플랜트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부산연구개발특구가 신규 지정됐다.
대덕연개발특구의 부지로서 활용가치가 낮은 대전 금고동 일부구역은 특구에서 해제됐다.
지식경제부는 26일 연구개발특구위원회를 개최하여 부산연구개발특구 지정(안), 대덕연구개발특구 일부 해제(안) 및 2단계 개발계획 변경(안)을 의결했다.
위원회는 먼저 조선해양플랜트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부산시 강서구 일원 등 14.1k㎡를 특구로 지정하는 `부산연구개발특구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
해양플랜트 산업 발전방안의 후속조치다. 부산을 조선해양플랜트 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해 경남·울산 등과 연계·협력을 통해 동남권내 해양플랜트 산업 및 유관 산업의 고부가가치화·첨단화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남권은 기계·자동차·조선 등 기간산업 집적지로서 국내총생산의 26%, 수출 28%, 고용 15%를 담당하고 있다.
또 대덕연개발특구의 부지로 활용가치가 낮은 대전 금고동 일부구역을 특구에서 지정해제 하는 안도 심의·의결했다. 이 구역은 대덕특구 지정 이전부터 폐기물처리시설로 운영됐으며, 첨단설비 입지 등 특구로서 활용에 한계가 있다. 또 환경에너지타운 조성 등 환경부 국책사업 수행 및 제2폐기물매립장 조성에 활용하기 위해 특구 해제가 필요했다.
대덕특구의 신동·둔곡지구가 과학벨트의 거점지구로 지정됨에 따라 과학벨트법에 따라 과학벨트 개발계획을 반영하기 위해 대덕특구 2단계 개발계획 변경을 의결했다. 이번 의결로 과학-비즈니스-정주여건을 핵심으로 하는 과학벨트의 개발 청사진이 마련됨에 따라 본격적인 사업추진이 기대된다.
홍석우 지경부장관은 회의를 주재하면서, 우리경제가 선진경제로 전환을 위해 R&D 성과가 기업성장과 일자리 창출로 연계되는 기술사업화 선순환 산업생태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혁신의 성과 확산을 위해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비즈니스의 융합이라는 시대정신에 따라 연구개발특구와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상생 협력을 당부했다.
지경부는 연구개발특구위원회 개최 후속조치로 제2차 특구육성종합계획을 수정·보완해 부산연구개발특구 육성, 과학벨트와 연계 협력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