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나면 알아서 달려간다···교통안전공단, e-Call 서비스 개발 나섰다

교통사고 발생 시 구급차가 현장에 도착하는 시간을 줄이고 후속 차량에 의한 2차 사고를 예방하는 서비스가 개발된다.

교통안전공단은 30일 자동차사고 긴급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이머전시-콜(e-Call)` 서비스를 개발하기로 하고 정보전략계획(ISP) 수립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e-Call 서비스 개요
e-Call 서비스 개요

`e-Call` 서비스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사고 발생 판단 단말기를 통해 사고정보를 e-Call센터(가칭)로 자동 전송하는 서비스다. e-Call센터는 긴급상황 정도에 따라 소방서나 경찰서에 사고위치와 규모를 자동 전달해 출동 시간을 줄이고 사상자수와 피해를 최소화한다. 사고발생 지점 후방 수㎞ 내 차량에도 사고정보를 전달해 추가 사고를 예방한다.

교통안전공단은 2007년부터 e-Call 서비스를 검토해왔다. 자동차성능연구소와 사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방안도 연구 중이다. 에어백 작동이나 브레이크로는 불가능한 급감속 발생, 차량 내 카메라에 의한 영상캡쳐 등 다양한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이번 ISP 프로젝트에서는 국내외 e-Call 유사 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정립한다. 서비스의 핵심인 단말기 구성 요소를 정의하고 e-Call센터 운영 프로세스와 사고대응시스템 구성이 논의된다. 또 교통사고에 따른 긴급서비스 유관기관 간 협업 강화 방안도 마련된다.

2009년 기준 국내 자동차 1만대 당 사망자수는 2.8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국(OECD) 32개국 중 28위다. 소방방재청 긴급구조 신고 접수 후 현장 도착 시간이 선진국 대비 10분 더 소요된다. 특히 응급환자의 최대 진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골든타임`인 4분 내 도달률은 32%에 불과해 e-Call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돼 왔다.

이미 유럽에서는 e-Call 서비스 시범 운영이 진행되고 있다. 러시아는 내년 말부터 서비스에 착수하며 시범 운영 중인 유럽연합(EU)에서는 e-Call 서비스를 제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유럽자동차 경제분석연구회에 따르면 e-Call 서비스를 통해 교통사고 사망자를 연간 10%까지 줄이고 250억유로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통안전공단은 연말부터 6개월간 ISP 프로젝트를 추진해 사업 방향성을 도출할 계획이다.

ISP 수립 이후에도 서비스 적용 대상, 정부의 지원 범위, 연관 기관·기업의 협조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이에 따라 우선 시범사업을 실시해 성공사례를 발굴한 후에야 본 사업이 가능할 것이라고 교통안전공단 측은 전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