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피크 전력수급 문제 없나](하)숨어있는 전력 1%를 찾아라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전력자원을 찾아라.”

겨울철 전력수급 대책을 마련 중인 전력당국에 특명이 떨어졌다. 지식경제부를 중심으로 전력관련 기관이 모두 모여 연일 비상대책회의를 가지면서 전력수급 대책 아이디어를 짜내고 있다. 지난해 겨울과 같이 산업계 절전규제를 실시한다는 방침은 정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식경제부는 이르면 다음 주에 초고강도의 전력수급대책을 마련해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전력업계는 이번 대책의 골자가 숨어있는 전력자원의 최대 활용과 강도 높은 절전규제, 인센티브 강화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우선 비상발전기를 중심으로 숨어있는 전력 자원을 최대한 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태의 원인을 제공한 영광원전 5·6호기가 내년부터 가동을 시작하면 전력수급에 여유를 찾을 수 있지만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전수조사가 길어질 경우도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미 비상대책회의를 통해 공공기관의 비상발전기 가동을 최대화한다는 방침을 정해 놓은 상태다. 각 공공기관의 비상발전기 현황조사 및 가동능력 일대 점검에 착수한다. 이후에는 기업 및 대형시설물에 설치된 비상발전기 현황과 비상시 가동의사를 함께 조사할 예정이다.

한국전력과 전력거래소는 송·변전설비 안전과 계통운영에 만전을 기하고 주간예고제, 수요자원시장 등 수요관리제도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올 여름 수요관리 예산이 2000억원 가량 적자를 냈지만 최근 국회에서 예산 보충안이 통과돼 겨울철 전력수급에도 충분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영광원전 사건을 계기로 자체적인 부품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는 발전회사들은 발전소 출력상향운전을 준비하고 있다. 연료로 고품위탄을 사용하고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소비를 최소화 해 송전전력을 늘리는 방법이다. LNG 복합발전의 경우 평상시보다 겨울철에 출력을 더 올릴 수 있다는 점도 전력공급 확대에 긍정적인 부분이다.

하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 초고강도 대책은 그만큼 위험부담도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정전을 막기 위한 비용지출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비상발전기 가동과 수요관리시장 운영비용은 물론이고 기업 절전규제에 따른 인센티브도 만만치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수요관리 예산에 다시 대규모 적자가 발생할 수 있다. 발전소 출력상향도 설비의 부담을 초래한다. 전력공급능력을 조금 더 욕심내다 발전설비가 부담을 이기지 못해 정지하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정한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정책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공급이 수요보다 작다는 측면은 바뀌지 않았다는 점에서 지금까지의 대책강도 수위를 높이는 방법으로 전력수급을 대응할 수 있을 것 같다”며 “하지만 규제적인 접근은 사회적 불편을 초래하는 만큼 자율적인 절전 참여가 가능하도록 정부 차원에서 적절한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