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국방 구현을 위해 군이 외부 기관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빅데이터와 공간정보 등 민간 분야에서 대두되고 있는 신기술 적용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함께 나왔다.
국방부 주최, 전자신문과 국방기술품질원 주관으로 8일 서울 공군회관에서 열린 `2012 국방정보기술 컨퍼런스`에서 특별 강연자로 나선 박정호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위원장과 김성태 한국정보화진흥원장은 이 같이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미래 ICT 환경변화와 국가정보화 전략`이라는 주제 강연에서 “현재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 국방부 장관은 위원으로 참여를 하고 있지 않다”며 “향후 스마트 국방을 실현하기 위해 국방부 장관도 위원회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텔레메틱스 등 사물 간 통신이 군에서도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라고 소개했다.
국방 ICT 인력 양성을 위해 병역혜택 제도를 활용하는 방안도 공개됐다. 박 위원장은 “대학에서 설치, 운영 중인 ICT관련 학과 전공 우수학생을 국방IT분야 장교로 복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스마트 사회 미래전략과 스마트 국방`이라는 주제 강연에서 빅데이터, 공간정보 등을 활용한, 국방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했다. 김 원장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 기반으로 정책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개방형 지식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스마트 국방을 실현할 수 있다”고 전했다. 미국 국방부가 빅데이터 연구개발 이니셔티브 일환으로 진행한 군사작전자율시스템을 사례로 들었다. 이 시스템은 빅데이터 분석기반으로 군사작전을 결정·지각·인지한다.
이밖에 정부기관 및 민간과 협력해 공간정보를 활용, 스마트 국방 전략 고도화와 융합을 통한 국방부문의 새로운 가능성 창출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