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스마트 안전귀가` 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를 21일부터 전국 확대 실시한다. 어린이·노인·여성·청소년 등이 밤길을 안심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다. 지난 2월부터 부산·인천·대전·제주 등 4개 시도 43개 시군구에서 시범운영하던 것을 전국으로 확대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보호자에게 전달해준다. 이동 경로 주변의 안전시설물을 조회할 수 있고 위험구역 정보도 제공해 준다.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경로를 이탈하거나 안전구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문자나 페이스북·트위터 등으로 사용자 위치를 전송한다. 청소년 금지구역 등 위험 지역을 지날 때는 벨이나 진동으로 알려줘 위험지역을 피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동 중 긴급상황 발생 시 긴급 신고버튼을 누르면 경찰서나 보호자에게 자동 연락된다.
서비스는 생활공감지도 대표사이트와 스마트폰에서 모두 이용 가능하다. 통신사 별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내려 받아 설치하면 된다. 장광수 행안부 정보화전략실장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시민들의 안전도우미가 될 것”이라며 “스마트폰, GPS 등 IT와 행정정보 융합으로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생활안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