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일 에너지정책 예의주시해야

미국의 에너지자급률 제고 노력으로 우리나라 가스 공급선이 다변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안정적인 수송라인 확보, 저장설비 확충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5일 한국공학한림원은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주요국 신정부 출범 후 에너지정책과 대응`이라는 주제로 32회 에너지포럼을 개최하고 주요 국가들의 신정부 출범이 가져올 에너지 분야 변화 예측과 우리나라 대응 전략에 대한 토론을 펼쳤다.

한국공학한림원 주최로 7일 열린 32회 에너지포럼에참석한 연사들이 토론을 펼치고 있다. 왼쪽부터 조성봉 숭실대 교수, 김진우 에너지경제연구원장, 김진현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건립위원장, 강태영 포스코경여연구소장, 송재천 한화케미칼 상무
한국공학한림원 주최로 7일 열린 32회 에너지포럼에참석한 연사들이 토론을 펼치고 있다. 왼쪽부터 조성봉 숭실대 교수, 김진우 에너지경제연구원장, 김진현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건립위원장, 강태영 포스코경여연구소장, 송재천 한화케미칼 상무

오바마 집권 2기에 접어든 미국, 시진핑 중국공산당 총서기 체제의 중국, 이달 중의원 선거를 앞둔 일본의 에너지정책 동향과 우리나라 대응전략을 집중 논의했다.

김진우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미국은 지난 4년간 에너지자립을 핵심정책으로 추진한데 이어 2035년까지 에너지자급률을 97%까지 높이기 위해 석유·가스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이로 인해 중동·러시아·북미·호주 등 세계 주요 가스 수출국가가 아시아 지역으로 공급을 확대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 원장은 이어 “중동산 원유·가스의 아시아 공급 확대로 호르무즈·말라카해협을 통한 물동량이 증가하면 수송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다”며 “아시아 지역 가스 허브 기능을 위해 대륙과의 파이프라인 연계, 저장설비 증설 등 인프라 투자에 주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공급과잉과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성장통을 겪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관련해서는 화석연료 자급률 향상과 별로도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허리케인 `샌디`로 인해 미국 내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데다, 일본은 원전 축소, 신재생에너지 확대라는 국민적 합의에 도달했고 2015년까지 총 발전량의 2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중국 정부 계획을 근거로 제시했다.

조성봉 숭실대학교 교수는 패널토론에서 “우리나라 에너지수급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나라는 사실상 일본”이라며 “향후 일본 원전 정책과 가스수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향후 아시아 지역 에너지공급, 셰일가스 기술개발 등을 놓고 벌어질 미국과 중국의 경쟁·협력 관계를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재천 한화케미칼 상무는 “중국은 부족한 에너지공급을 메우기 위한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며 이런 부분을 우리가 파고들어간다면 중국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