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제조업계, 中 철수 고민···韓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공략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일본계 기업의 중국 시장 사업 축소·이전·철수 이유

일본 제조업이 중국 시장에서 사업 철수와 축소, 생산 라인 제3국 이전을 심각하게 고민한다. 최근 중국 인건비가 대폭 상승하면서 비용 부담이 커진데다 영토 분쟁이 촉발한 반일 감정 탓에 신규 투자도 여의치 않다. 반면에 전자 시장 주도권을 강화한 한국에는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적극적인 현지화에 나서는 추세다.

6일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가 중국 진출 일본계 기업 총 853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앞으로 1~2년 내 사업 축소, 제3국 이전, 철수를 추진할 것이라고 응답한 곳이 총 48개사로 5.7%를 기록했다. 지난 2011년보다 1.3%포인트 증가했다. 제조업체가 38개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 조사는 재중 일본계 기업들의 향후 사업 방향을 조사하기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11월까지 두 달여간 진행됐다.

현상 유지라고 응답한 기업은 지난 2011년 23.9%보다 16.1%포인트 상승한 42.0%를 기록했다. 중국에서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한 일본 기업은 지난해보다 14.5%포인트 하락한 52.3%를 기록했다. 지난 2002년 이후 50%대를 기록한 것은 처음이다.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영토 분쟁으로 중국 내 반일 감정이 고조돼 신규 투자에 신중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사업 축소·철수를 추진하는 것은 중국의 인건비가 큰 폭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근래 중국의 임금 상승률은 매년 10% 이상을 웃돈다. 현지 투자 기업의 비용 부담을 가중시킨다. 국내 제조업체 관계자는 “일본뿐 아니라 우리나라 제조업체들도 인건비 상승에 부담을 느껴 중국 생산 라인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으로 옮기는 추세”라며 “중국 인건비는 제조 원가의 15% 이상을 차지해 더 이상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일본 제조 업체들은 한국 진출과 사업을 한층 강화한다. 고부가가치 부품·소재를 앞세워 한국 전자 시장 수요를 차지하겠다는 의지다. 스마트기기 등 첨단 시장을 우리나라가 주도하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 결과 국내에 있는 일본계 기업 108개사 중 38%는 올해 한국 시장에서 고부가가치 제품 사업을 확장할 것이라고 답했다. 마쓰모토 야스히로 한국후루야메탈 사장은 “한국은 삼성전자, LG전자 등 세계 기술제조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이 있는 중요한 시장”이라며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사업을 대폭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계 기업의 중국 시장 사업 축소, 이전, 철수 이유

日 제조업계, 中 철수 고민···韓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공략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