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실현의 핵심기반인 국가 원격검침인프라(AMI) 구축사업이 재정비된다. 정부와의 소통채널을 단일화하고 그간 사업적 미비의 불신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지부진했던 국가 AMI 구축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23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AMI 구축사업 총괄과 책임을 맡게 될 한전 내 컨트롤타워 신설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은 이달 중 스마트그리드 추진처 내 10여명으로 구성된 AMI 컨트롤 타워 조직을 신설할 계획이다. ICT운영처, 마케팅처, 배전운영처에서 담당했던 업무를 통합해 AMI 구축 사업을 총괄하는 부서를 구성한다. 이를 위해 관리, 기획, 마케팅, 엔지니어링의 4개 본부 간 협의를 마치고 사업 타당성에 들어갔다.
신설되는 한전의 AMI 컨트롤타워는 정책부터 부품 및 사업자 선정을 포함해 현장적용 후 안정적인 운영까지 사업 전반을 책임진다. 이와 함께 감사원 지적사항에 따라 2010년에 구축한 50만호의 AMI도 교체 혹은 부분 수정을 목적으로 현장 조사에 착수했다. 추가로 감사 중인 2012년도 보급사업의 감사결과에 따른 대응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이밖에 정부가 추진하는 AMI 구축사업을 포함해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와 2014년 시작되는 거점지구 사업, 중소기업 지원책 등에도 참여한다.
정부는 지난 2010년부터 10년간 총 1조1367억원을 투입, 2020년까지 저압수용가(1800만호)에 AMI를 구축할 방침이었다. 사업 첫해인 2010년 50만호 구축 사업을 진행했지만 한전이 불완전한 성적서를 받은 제품을 사업에 참여시키면서 사업은 중단됐다. 이후 2년만에 재개된 지난해 사업마저도 입찰 과정에 비리 의혹을 남기며 다시 중단됐다. 두 차례 걸쳐 진행된 2010·2012년 사업 모두 감사원 감사를 받는 불명예를 남겼다.
한전 관계자는 “AMI는 원격검침이나 전력 수요조절 수준을 넘어 국내 스마트그리드 산업의 기초이자 핵심인 만큼 정부 정책에 일관성을 가져가기 위해 컨트롤타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달 중에 한전 일상 감사를 마친 후 최종 운영안이 결정된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