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 초대 장관으로 누가 임명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인수위측이 미래부를 기획재정부와 함께 새 정부 쌍두마차격으로 끌고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치면서 사실상 `박근혜노믹스`의 핵심 부처 수장에 대해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수위 주변과 당선인 주변에서는 창조경제를 구현, 일자리와 성장동력을 창출할 인물을 구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인수위는 우선 총리후보를 내정한 다음 총리 후보자와 함께 주요 부처 장관을 내정하겠다는 복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래부는 차기 정부의 정보통신기술(ICT)과 과학기술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인 만큼 ICT와 과학기술 전반을 아우르면서도 행정을 아는 전문가가 초대장관 후보자로 물망에 오르고 있다. 이와 함께 새 정부인 만큼 참신성도 중요하게 얘기되고 있다. 발탁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것이다.
우선, 진영 인수위부위원장이다. 진 부위원장은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을 함께 맡으면서 ICT와 과학기술에 관심을 표명해온 몇 안 되는 새누리당 내 인사다. 창조경제로 대변되는 박근혜노믹스를 누구보다도 꿰뚫고 있으며 여당은 물론 야당과도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다. 국회 ICT전문가포럼을 민주당 변재일 의원과 이끌면서 정책적 혜안도 있다.
인수위 전문위원으로 참여한 윤종록 연세대 교수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기술고시 출신인 윤 교수는 KT 부사장을 역임하고 벨연구소를 거쳐 학계에 몸담으면서 당선인의 창조경제론 구상에 일조한 인물이다. ICT와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상상개발(I&D)을 앞세운 창업국가론을 주창했으며, 이를 창조경제로 확산시켜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창조경제론의 이해도를 감안, 미래부 장관보다는 미래전략수석에 적임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이외에도 하나로텔레콤 회장 출신인 윤창번 전문위원도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새누리당 전 행복추진위 방송통신추진단장을 거쳐 인수위 경제2분과 전문위원으로 참여 중인 윤 단장은 방송통신 분야의 전문가로 꼽힌다. 또 임주환 전 ETRI 원장은 과학기술과 ICT 분야를 두루 섭렵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시선을 받고 있다. 최문기 전 ETRI 원장, 조현정 비트컴퓨터 회장 등도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물망에 오르내리고 있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