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강국의 첫 꿈을 쐈다. 2번의 실패와 2번의 기다림 끝의 낭보다.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로켓) 나로호(KSLV-1)가 30일 오후 4시 우주를 향해 이륙, 위성을 정상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나로호(KSLV-Ⅰ)가 성공적으로 발사돼 나로과학위성을 정상 궤도에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5시 나로우주센터 브리핑룸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각종 분석 결과 (위성을) 목표 궤도에 진입시키는데 성공했다는 사실을 전해드린다”며 “(최종 성공 여부는) 내일 새벽 대전에서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발사 성공으로 우주 강국을 향해 한 단계 도약하게 됐다”며 “오늘의 감격을 동력으로 삼아 한국형 발사체를 독자 개발, 2020년께 우리 기술로 우주에 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나로호는 이날 오후 4시 이륙한 뒤 발사 54초 후 음속을 돌파했다. 215초 뒤에 예정대로 위성덮개(페어링) 분리에 성공했다. 페어링 분리는 발사장에서 245㎞ 거리, 고도 177㎞ 지점에서 이뤄졌다. 이어 229초 후 1단(하단) 엔진이 멈췄다. 232초 뒤 1단이 떨어져 나갔다. 분리된 1단 로켓의 낙하 지점은 발사장에서 약 2천700㎞ 떨어진 해상으로 예상된다.
발사 후 395초 시점에서 나로호는 2단(상단) 고체연료를 점화, 그 추진력으로 목표 궤도에 진입했다. 약 9분(540초)께 위성을 분리해 궤도에 올려놓으면서 임무를 완수했다.
지난 2002년 8월 100㎏급 나로과학위성(STSAT-2C)을 우리 힘으로 지구 저궤도에 올려놓고 정상 작동시키겠다는 목표로 시작된한 나로호 개발사업은 10년만에 결실을 봤다. 사업비만 5천205억원이 들었다. 대한항공·한화·삼성테크윈·한국화이바 등 150여개 기업과 45개 대학·연구소가 참여해 머리를 맞댔다. 발사체 체계를 갖추고 1단(하단) 추진체를 만들기 위해 우주 강국인 러시아의 도움도 받았다.
2009년 8월 25일 나로호 첫 발사, 2010년 6월 10일 2차 발사 실패에 이어 작년 10월 26일과 11월 29일 발사가 미뤄졌다. 결국 30일 첫 우주발사체 성공해 11번째 스페이스 클럽 국가가 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새로운 우주시대를 열게 된 것을 국민 여러분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수고한 모든 과학자들에게 뜨거운 박수를 보낸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그동안 노력이 실패가 아닌 성공으로 가는 과정이었음을 확인했다”며 “본격적인 우주과학시대를 열어가는 첫 출발을 했다. 대한민국의 국력이 한 단계 올라가는 계기로 만들자”고 강조했다.
정부는 당초 2021년을 목표로 추진하던 한국형발사체 발사 시점을 2018~2019년으로 앞당길 예정이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