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와 효율,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기술 확보가 생존을 위한 필수과제입니다. 미래를 내다보는 투자가 필요합니다”
4일 한국태양광산업협회 주최로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새정부의 태양광 정책, 어디로 가야하나` 정책토론회에 참석한 산학연 전문가들은 불황에도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광주 SNE리서치 사장은 안정적인 내수시장 조성을 통한 경쟁력 확보를 강조했다
김 사장은 “올해 말부터 공급과잉이 해소되기 시작해 내년 초 약 75% 이상 수급이 맞아 들어갈 것으로 예상 한다”며 “시장 회복과 더불어 우리업체가 안정적 매출을 올릴 수 있는 내수시장 확대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우리나라 태양광설치량은 GDP대비 선진국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라며 “국내 생산량의 30%를 소화할 수 있는 규모의 시장 조성이 필수”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2∼3년 내 500㎿, 5년 내 1GW 시장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시장 창출 정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진호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태양광 PD는 “공급과잉으로 업계 생존경쟁이 심화됐다”며 “패스트 팔로워가 아닌 퍼스트 무버로써 기술개발을 주도해야한다”고 지적했다.
당장 생존하기도 힘든 생황에서 투자에 소극적일 수 있지만 원가, 효율을 잡을 수 있는 기술개발이 곧 생존의 필수 조건이라는 설명이다.
박 PD는 “태양광산업 구조조정이 가속화되면서 기업의 R&D 추진도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라며 “과거 반도체분야에서 치킨 게임이 심화됐을 때 대다수 기업이 미래 기술개발에 나서지 않아 경쟁력을 잃고 쓰러진 상황이 다시 연출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2, 3년 후 시장 상황은 지금과 다르게 분명 긍정적인 그림이 나올 것”이라며 “대규모 공공 R&D로 기업 투자여건을 개선하고 소재, 장비 분야에서 대중소기업이 협력하는 상생 R&D모델을 구축해 시장에 진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자중 한국태양광산업협회 부회장은 “발전사업 가운데 고용창출효과가 가장 높은 것이 태양광산업”이라며 “대중소기업 간 협력, 창조경제 구축이 가능한 만큼 산업 육성을 위한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재영 지식경제부 신재생에너지과 과장은 “신재생에너지 4차기본계획을 통해 신재생에너지보급 확대라는 기본방향을 설정했다”며 “내수시장 육성과 R&D사업 확대를 위해 규제해소, 투자확대를 위한 정책 수립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
최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