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산업, 자원을 모두 아우르는 실물경제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내정자는 17일 대변인실을 통해 “초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 내정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인사청문회를 거쳐 장관으로 취임하면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앞당겨 나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인선 직후 본지와 전화통화에서도 “정책 균형을 유지하도록 힘쓰겠다. 균형있는 정책을 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내정자는 현직 차관이 새 정부 출범 국면에서 장관으로 직행하는 보기 드문 기록도 세웠다. 지경부 차원에서도 차관이 곧바로 장관으로 내부 승진한 것은 처음이다.
부처 밖에서 쌓은 화려한 경력보다는 정통 관료로서 충실히 다져온 전문성과 업무 연속성이 장관 내정에 주효했다는 평이다.
윤 내정자는 25회 행정고시 출신이다. 옛 공업진흥청, 상공자원부, 통상산업부, 산업자원부를 거쳐 현 지경부까지 산업통상자원부의 근원인 부처와 업무를 두루 경험했다. 2011년 5월부터 지경부 1차관을 맡아 산업정책을 총괄했다.
윤 내정자는 1차관 시절 전통 제조업, 유통업, 지식산업, 뿌리산업, 정보통신 분야 등 전 산업 균형 발전에 힘썼다.
특히 열악한 국내 소프트웨어(SW)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전자신문과 공동 시상하는 `신SW 상품 대상`을 애정 깊게 이끌어왔다. 윤 내정자 스스로 최근 SW 행사에서 “(대기업의 공공 정보화사업 참여 제한을 강화한) SW진흥법 개정이 가장 힘들면서도 가장 보람된 일이었다”고 말했을 정도다.
당초 윤 내정자는 장관 유력 후보군에 오르내리지 않았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 으레 자리를 떠나는 현직 차관인데다 마침 외부에서 활동 중인 전직 차관 가운데 쟁쟁한 후보가 많았다.
하지만 지경부가 산업통상자원부로 간판을 바꿔 다는 과정에서 내부 혼선을 최소화하고, 기존 조직과 통상교섭 조직을 조화롭게 융합시킬 수 있다는 점이 박근혜 당선인의 인선 결정을 이끌었다.
지경부 내에서도 `예상 밖 인사`라면서도 절로 고개를 끄덕이는 분위기다. 누구보다 새 정부 산업통상형 부처 수장으로서 자질과 역량을 갖췄다는 게 내부 목소리다
윤 내정자는 15년 만에 부활하는 산업통상형 부처의 연착륙을 이끄는 것이 지상 과제다. 아직 야당이 산업통상형 부처를 놓고 반대를 굽히지 않는 상황이다. 야당이 원안을 수용하더라도 새 정부가 출범하면 통상 분야에 현미경 검증을 가할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고 단순히 통상 기능 주력만으로는 부족하다. 통상을 비롯해 기존 산업과 자원 정책간 균형과 조화를 이루며 시너지를 꾀해야 한다. 이미 일각에서는 장관이 통상과 원자력 이슈에 매달리다 산업 정책을 등한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
△경북 경산(57) △부산고 △서울대 무역학과 △행정고시(25회) △산업자원부 수출과장·산업정책과장 △전기위원회 사무국장 △지식경제부 자원개발정책관·산업경제정책관 △무역위원회 상임위원 △지식경제부 기획조정실장 △대통령 지식경제비서관 △지식경제부 제1차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