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프로덕트 퍼스트무버로!]생태계 조성 위해 뛰는 기관들

스마트 프로덕트가 국내에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1년이다. 최재붕 성균관대 교수를 중심으로 경기도와 경기테크노파크(경기TP) 등은 스마트 시대를 주도할 새로운 기기 개발에 뜻을 모으고 공동 기획에 나섰다.

이 기획은 `SNS에 기반한 스마트 프로덕트 신산업 육성`이란 프로젝트로 발전했고, 이 프로젝트는 지식경제부 국비 사업에 선정돼 34개월 일정으로 2011년 7월 닻을 올렸다. 참여 사업자도 서울테크노파크(서울TP), 경북테크노파크(경북TP), 부산테크노파크(부산TP), 동의대 등으로 확대됐다. 특히 지자체로는 경기도가 이 프로젝트에 총 29억원을 지원하는 등 적극 참여했다. 경기도가 이 프로젝트에 열성인 이유는 스마트 프로덕트의 생산 및 유통 최적지이기 때문이다.

스마트 프로덕트를 개발하려면 제조기업은 물론이고 제품 디자인, 기술력 있는 소프트웨어(SW) 업체, 유통사 등이 두루 필요하다. 이 모두를 갖춘 곳이 바로 경기도다. 도에는 세계 1위 스마트폰 제조 기업이 있고 기술력 있는 중소 제조기업이 대거 포진해 있다. 성남, 판교, 분당 등에 우수한 앱 개발 전문 업체들도 줄줄이 자리 잡고 있다. 융복합 대표 제품인 스마트 프로덕트는 제조업과 서비스업간 융합과 대·중소기업 간 새로운 상생 모델이어서 도의 브랜드를 높이고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데 적합하다.

도는 스마트 프로덕트 이외에도 오는 2017년까지 과학기술 발전에 1조4000억원을 투입키로 하는 등 어느 지자체보다 신기술 개발과 상품화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제 막 시장을 형성해나가고 있는 스마트 프로덕트의 기획 및 디자인 지원과 SW개발, 마케팅은 성균관대 스마디사업단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스마디사업단은 지난 1년여간 스마트프로덕트 개발을 위한 공통 플랫폼 개발과 4개 특성화 분야 선정 및 시제품 개발 지원, 스마트 프로덕트 통합 브랜드 제작 등의 성과를 올렸다.

경기TP(테크노파크) 역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경기TP는 수도권·경북·부산 등 3개 권역에서 사업설명회를 여는 한편 제조업 연계 협력 정보망도 구축했다. SNS 연계 제조업 지원과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전주기 지원 시스템도 만들었다. 판매 및 마케팅은 숭실대가 맡고 있다. 숭실대는 국내외 온오프라인 유통망 확보 지원과 SNS 연계 스마트 프로덕트 전문가 교육과 창업 지원 등의 활동을 했다. 지난해 3월 스마트 프로덕트 창업 경진대회도 열었다.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