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 이젠 실천이다 <8회>아이핀(i-PIN)

아이핀(i-PIN, 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은 인터넷 사이트 회원 가입을 하거나, 가입 홈페이지에서 분실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찾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주민등록번호를 대신해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입니다. 일반 웹사이트처럼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구성돼 있고, 분실 시에는 아이핀 인증창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아이핀 이용자는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 자신의 주민등록번호를 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주민번호 유출 위험으로부터 안심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사업자는 고객의 주민등록번호를 저장·관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해킹 위험이 줄어듭니다.

Q:최근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 주민등록번호가 얼마나 사용되는지 알고 싶어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clean.kisa.or.kr)에서 확인을 해봤습니다. 제 주민등록번호로 가입돼 있는 사이트가 생각보다 많아 놀랐습니다.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A:인터넷에서 아이핀을 사용하면 주민등록번호 유출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새로 가입하고 싶은 사이트가 있을 경우에는 주민등록번호 대신 아이핀으로 가입하고, 기존에 주민등록번호로 가입돼 있는 사이트는 아이핀으로 전환하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아이핀으로 전환하면,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 저장돼 있던 주민등록번호가 삭제됩니다.

아이핀은 서울신용평가정보, 나이스신용평가정보, 코리아크레딧뷰로, 공공아이핀센터 등 본인확인기관 또는 홈페이지(i-pin.kisa.or.kr)등을 통해 언제든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Q:아이핀과 주민등록번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아이핀과 주민등록번호는 그 기능은 동일하지만, 관리적인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평생 변경할 수 없는 고유 번호인 주민등록번호는 유출되면 악용되기 쉽지만, 아이핀은 사용자가 직접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원할 때면 언제든 신규 아이핀을 재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아이핀 아이디·비밀번호를 분실하거나 유출되더라도 손쉽게 폐기하고 재발급할 수 있습니다. 발급받은 아이핀으로 인증 받을 때마다 본인확인기관에서 이메일로 인증내역을 알려주기 때문입니다. 사용내역 확인으로 아이핀 도용 및 유출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Q:인터넷 사업을 하고 있는 개인 사업자입니다. 그 동안 주민등록번호로 회원가입을 받아 개인정보 관리에 부담을 느껴왔습니다. 아이핀 서비스를 도입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

A:아이핀 발급 서비스는 4개 민간·공공 본인확인기관에 연락하면 됩니다. 일반 사업자가 운영하는 민간 웹사이트는 민간 본인확인기관(서울신용평가정보·나이스신용평가정보·코리아크레딧뷰로)에 문의하면 됩니다. 정부부처·공공기관 등 공공 웹사이트는 공공아이핀센터를 통해 아이핀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습니다. 아이핀 문의는 관련 홈페이지(i-pin.kisa.or.kr)를 참고하거나, 한국인터넷진흥원의 118상담센터(☎118)를 통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아이핀 발급인증 서비스 기관 현황

[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 이젠 실천이다 <8회>아이핀(i-PIN)


김원석기자 stone20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