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억원의 정부예산이 투입된 GIST 과학기술응용연구소(GTI) 자립화에 빨간불이 켜졌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매년 50억원 가까이 지원하던 실용화연구개발사업이 내년 종료되면 그동안 쌓아온 노하우와 네트워크가 모두 사장될 처지여서 안타까움을 더했다.
당장 예산이 줄면 인건비 등 기관운영비가 없어 상당수 전문인력을 감원해야 한다. 실제 일부 직원들의 경우 이직을 위해 이달 말 퇴사할 예정이다.
안타까운 건 상황이 이러한데 GIST가 산학협력단 역할을 해온 비정규조직 GTI의 대책 마련에 소홀했다는 점이다. GTI 스스로도 선급기술료 위주의 단기성과에만 치중했다는 지적을 면하긴 어려워 보인다.
포스트 사업인 A링크사업(성과확산형)도 정부 조직개편이 마무리되더라도 예산확보가 여의치 않다. 18명에 달하는 GTI 인력의 정규직 전환이 쉽지 않은 이유다. 최근엔 GIST 일반행정직이 잇따라 파견돼 직원관리가 실적위주로 운영되면서 성장동력도 크게 떨어졌다.
단기성과에 따른 후유증도 곳곳에서 감지된다. 특허를 기업에 이전해 수수료를 챙기는 선급기술료는 지난해 20억7300만원을 기록한 반면에 상대적으로 손이 많이 가는 경상기술료(로열티)는 4억8000만원에 그쳤다. 2008년 20%에 불과한 선급기술료 비율이 5년 사이 4배로 증가한 반면에 80%에 달하던 경상기술료 비율은 19%로 급전직하했다. 솔렌시스와 티엔엠 등 일부기업과 맺은 경상기술료는 경영악화와 폐업으로 한 푼도 받지 못했다.
주요 사업목표인 지역전략산업과의 연계성도 떨어졌다. 최근 3년간 지역산업체 이전 건수는 2010년 8건, 2011년 13건, 2012년 8건으로 평균 10건 내외다.
1990년대 초반 군사통신 기술을 접목해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기술을 개발한 ETRI와 퀄컴은 국내 이동통신사로부터 매년 1조원에 가까운 로열티를 받았다. 로열티에 좀더 신경썼어야 했다는 얘기다.
기술사업화 전문가에 따르면 “그동안 쌓아온 기술이전 경험과 노하우가 사라지지 않기 위해서는 GIST가 육성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얘기한다.
GTI는 이제 스스로 일어설 힘이 없다. 그렇다고 버릴수도 없다. 정부와 GIST가 답을 찾아 내놔야 한다.
광주=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