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정전 위기…'태양광 발전소' 이대로 멈출라

국민 성금으로 만든 독도 태양광 발전소 애물단지로 전락

독도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가 5개월째 유지보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민간의 성금을 모아 설립한 태양광 발전소가 자칫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다.

독도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 전경.
독도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 전경.

14일 경북지방경찰청과 한전KPS 등에 따르면 독도 태양광 발전소 무상 서비스 기간이 지난해 12월 끝났다. 하지만 담당 관리기관인 경북지방경찰청이 지금까지 추가 유지보수 계약을 하지 않고 있다.

독도 태양광 발전소는 한국전기공사협회가 지난 2009년 12월 30억원의 성금을 모아 준공했다. 총 설비용량은 55㎾로 유류저장고에 30㎾, 발전기실에 10㎾, 등대 옥상에 15㎾가 각각 설치됐다. 이 가운데 경북지방경찰청이 소유한 유류저장고와 발전기실의 40㎾ 규모 설비가 유지보수 관리에서 제외된 상태다.

독도 태양광 발전소는 지리적 특성상 염해로 태양광 패널이나 인버터 등의 주요 부품 고장이 잦다. 지난해 패널 고장으로 모듈 공급업체 현대중공업이 이를 통째로 교체하기도 했다.

태양광 발전소는 독도 전체 전력 사용량의 40%를 담당한다. 이때문에 갑작스러운 고장 발생 시 독도 내 레이더를 비롯한 주요 설비 가동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는 우려다. 게다가 다음 달부터 주요 전력공급원인 디젤 발전기 교체 작업까지 예정돼 태양광 발전소의 안정적 운전이 절실한 상황이다.

하지만 올 초 설치 업체인 한전KPS가 경북지방경찰청에 유지보수 관리 계약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기 위해 한전KPS, 한국전기공사협회, 경북지방경찰청, 포항해양항만청이 관련 업무협약을 맺는 방안도 추진했으나 무산됐다. 이유는 비용 부담이다. 유지보수 계약에 드는 비용은 8000만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제반 비용을 정액대로 산출한 결과다. 날씨가 조금만 나빠도 배로 접근하기 어려워 운반·체류 비용이 많이 든다.

경북지방경찰청 관계자는 “비용 부담으로 예방 점검을 못하는 게 사실”이라며 “설비 이상이 감지되면 즉시 한전KPS에 연락을 취해 보수하는 방식으로 관리 중”이라고 말했다. 비용 때문에 사후 대응으로 바뀐 셈이다.

이와 관련, 업계의 한 관계자는 “독도 태양광 발전소는 전력 공급 목적도 있지만 청정지역 독도의 환경을 보호하고 실효 지배를 강화하는 의미가 더 크다”며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 사후 대응이 아닌 예방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