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O BIZ+/예비역 병장 신혜권의 미래전읽기]첨단 무기체계, 민간 기술 활용이 해법

전투기 조종사가 특수 안경을 이용해 시선으로 전투기를 조종한다. 상황에 따라 안경 렌즈에 다양한 계기판이 나타난다. 유도무기를 발사하고 안경에 장착된 센서로 눈동자 시선을 인식해 적의 전투기를 쫓는다. 안경과 연결된 또 다른 센서는 몸의 이상 상태를 파악해 대처 방안을 알려준다.

[CIO BIZ+/예비역 병장 신혜권의 미래전읽기]첨단 무기체계, 민간 기술 활용이 해법

과거처럼 조종사가 조종대를 잡고 수도 없이 많은 계기판을 보면서 유도탄을 발사하는 복잡한 전투기 조종은 사라진다. 전투기 조종사는 적의 전투기를 추격하는 데 집중하면 된다.

이뿐이 아니다. 지상 레이더 센서 네트워크로 적군의 탱크를 먼 거리에서도 인식한다. 이를 기반으로 적의 탱크에 대처할 수 있는 사전 방어체계를 갖춘다. 물론 자동으로 방어체계를 작동시켜 즉시 대응이 가능하다. 군인들이 갖고 있는 개인화기도 더이상 목표물을 맞히기 위해 조준할 필요가 없다. 설정된 목표물을 자동으로 찾아 조준하고 필요한 만큼만 실탄을 발사한다.

모두 아직은 가상이다. 그렇다고 애니메이션에서나 볼 수 있는 이야기는 아니다. 머지않아 현실화가 가능한 이야기다. 센서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 때문이다. 센서 네트워크 기술은 국방 분야에서 집중적으로 개발, 상용화하고 있다. 실제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국방 무기체계에 적용하는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센서 네트워크 신기술을 국방 분야에 적용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계가 있다. 신기술을 국방 무기체계에 적극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민간의 기술이 필요하다.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이 적극적으로 민간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지만 효과는 아직 미미하다. 효과를 높이기 위해 민간기업 대상 적절한 보상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민간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육성정책을 적용해야 한다. 그래야만 전투기 조종 시스템이나 사전 지상방어체계 구축이 현실에서 이뤄질 수 있다. 민간기업을 성장시켜 우수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최적의 해법이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