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공급 확대가 한계에 부딪히면서 전력업계는 새로운 전력수급 전략을 시도하고 있다. 기존의 전력 수급은 수요에 맞춰 발전소를 늘려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었다면 새롭게 제안되고 있는 방안은 발전소 하나 만큼의 전력을 덜 쓰자는 개념이다.
500㎿급 석탄화력발전소를 건설하는 대신 500㎿의 전력을 절약하면 그 효과는 똑같다. 지난해 정부가 진행한 `국민발전소`처럼 다수의 에너지 절약을 유도해 전력예비력을 확보하는 `지능형 수요관리`가 정전대안으로 뜨고 있다.
지능형 수요관리는 국내 전력시장에서 운영되는 수요관리 제도 중 유일하게 민간이 주도하는 시장이다. 그동안 전력수급 위기시 가동하던 주간예고제와 수요자원시장이 한국전력공사와 전력거래소가 대용량 전력 수용가와 계약을 맺고 운영했다면 지능형 수요관리는 운영주체도 참여하는 고객도 모두 민간기업으로 구성된다.
부하관리사업자로 불리는 사업자들이 자체적으로 고객들을 긁어모아 전력위기시 절약할 수 있는 전력량을 확보하고 이를 전력거래소와 감축량으로 계약을 맺는다. 전력피크 상황이 발생하면 전력거래소는 부하관리사업자에 감축지시를 내리고 부하관리사업자는 고객사들의 냉방기나 기타 전기기기 등의 전력사용량을 낮춰 계약한 만큼의 전력을 줄이는 방식이다.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구 지식경제부)가 시범 도입할 당시 400여개 시장 참여 사업자 수는 불과 1년이 채 되기도 전에 770여개로 두배 가량 늘었고 정부 지원 예산도 지난해 24억원에서 올해는 68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에너지절약 참여 고객들을 모집하는 부하관리사업자는 시범사업 초기 6개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삼천리, LG유플러스, 코원에너지, 코오롱엔솔류션 등이 추가 참여하면서 총 13개의 사업자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사업자가 위기시 줄일 수 있는 전력량은 약 107㎿ 수준으로 당초 정부 목표였던 100㎿를 넘어서고 있다.
유독 전력난이 심했던 지난 여름과 겨울에도 실질적인 전력사용량 절감을 통해 전력계통 안정에 기여했다. 지난해 여름에는 7번의 시장 가동으로 45㎿를 줄였고 겨울에는 6회 가동으로 53㎿ 줄여 감축 효과가 커지고 있음을 증명했다.
대형마트 사업자인 A사는 전국 123개 지점을 지능형 수요관리에 참여시켜 9.8㎿ 전력감축량을 확보했다. 이 사업자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을 통해 조명, 냉동기, 공조기 등의 에너지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해 필요시 전력사용량을 줄이고 있다.
절전용량은 작지만 전력업계는 지능형 수요관리에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다. 다른 수요관리 제도와 달리 에너지 절감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기존 수요관리는 감축용량이 크지만 시장을 개설하기 위해 빨라야 하루 전, 길게는 일주일 전에 사업장과 계약을 맺는다. 수요예측으로 전력피크일을 예상하고 해당일자에 맞춰 계약 사업장에 절전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예측에 따른 대응이다 보니 실제 전력피크와 무관하게 인센티브 비용이 발생하는 변수가 생기기도 한다.
지능형 수요관리는 변수가 없다. 이 시장에 참여한 사업자들은 30분 이내, 연간 60시간의 감축 의무를 수행할 수 있다. 전력거래소의 감축 지시에 바로 절전을 시행 전력계통에 안정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실제 발전소와 다를 바 없다.
조강욱 전력거래소 지능형수요개발팀장은 “지능형 수요관리의 최대 장점은 절전효과가 즉각적이고 신뢰성 또한 높아 발전소처럼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이라며 “이번 여름에도 가용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전력수급위기가 오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