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적극적인 투자, 나노 산업 일으키는 토양

나노융합산업 인프라 투자 확대 급하다

인듐주석산화물(ITO) 필름은 최근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본 닛토덴코에서 전량 수입하던 이 필름은 터치스크린패널(TSP)의 핵심 소재다. 대기업을 비롯해 많은 업체들이 국산화에 나섰지만 문제는 프리미엄 스마트폰·스마트패드 등 고부가가치 제품에는 아직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2011년 대구 나노융합실용화센터의 지원을 받아 국내 중소기업이 10인치 이상 TSP용 ITO 필름 개발에 성공했다. 고성능 ITO 필름 면저항 수준인 100Ω~150Ω에는 미치지 못하는 200Ω~270Ω의 저항을 구현한다. 이 회사가 외산에 필적할만한 소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추가 R&D가 필요하다. 하지만 전체 매출액이 지난해 기준 100억원 남짓이라 장비·설비 투자가 만만치 않다. 그동안 개발한 기술이 고사당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추가 투자 지원이 절실하다.

[이슈분석]적극적인 투자, 나노 산업 일으키는 토양

[이슈분석]적극적인 투자, 나노 산업 일으키는 토양
[이슈분석]적극적인 투자, 나노 산업 일으키는 토양

지난 2002년부터 시행된 나노 강국 프로젝트, 국가나노인프라센터 구축 사업이 서서히 결실을 맺고 있다. 6개 센터에 장비가 반입되고 연구개발(R&D)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이와 더불어 나노 산업도 꽃을 피웠다. 반도체·디스플레이 회로 미세 패턴 공정은 물론 터치스크린패널(TSP), 각종 특수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나노 산업은 진화해 왔다.

이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미세 3차원(D) 구조를 갖는 반도체, 전기 전도도가 높은 물질을 활용한 신개념 부품, 전자 기기용 박막 필름 등 글로벌 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기술을 개발해 독자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해야 할 때다.

◇나노 인프라 고도화

인프라를 활용해 재도약에 나설 시점이다. 1단계에서 각 지역별 센터를 만들고 장비·설비·인력 등 기반 시설을 조성했다면 2단계부터는 지역 중소기업과 연구소와 연계해 성장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 장비·서비스 고도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포항·대전·대구·광주 등 지역별 나노센터는 기본 설비를 갖추고 있지만 특화 설비가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고 선행 공정도 부족하다. 또 지식재산권(IP) 확보를 위한 인프라도 아직까지 미흡하다. 소량·다품종 생산을 통해 문호를 개방하는 것도 과제다.

김상익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사무국장은 “내년이면 그동안 써 오던 장비나 설비가 노후화하는 시점”이라며 “10년 전 구축한 장비로는 차세대 나노기술 R&D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중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게 예산이다.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는 장비·서비스 고도화에 오는 2020년까지 약 15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4개 기관(포항 나노기술집적센터, 전북나노기술집적센터, 광주나노기술집적센터, 대구나노융합실용화센터)의 기존 사업에 참여했던 기업들은 상용화(30%), 장비활용(25%), 선행연구(20%), 특화인력 수급(15%) 등 다방면에서 정부 지원을 요청했다.

당장 내년부터 105억원, 점차 액수를 늘려 연간 264억원의 재원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는 나노 제품 50개 상용화, 연평균 2400억원 매출액 창출, 연간 240명 일자리 창출이다.

◇나노융합상용화 플랫폼 활용사업2.0

나노기술인프라 협의체는 산업부 산하 4개, 미래부 산하 2개 기관으로 나뉘어 있다. 미래부는 `나노팹시설활용지원사업`을, 산업부는 `나노융합상용화 플랫폼 촉진 및 활용 사업`을 각각 추진해왔다. 두 정책 모두 상용화 기술 지원과 범용 플랫폼 지원에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두 사업을 통합해 오는 2014년까지 5년간 31개 기업을 지원하고 플랫폼 기술은 18개를 확보하는 데 그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향후 5년간 적어도 상용화 기술 100개, 플랫폼 기술 30개를 확보해야 미국·독일·일본 등 선진국에 뒤쳐지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른 관련 제품 매출액은 5000억원 이상, 고용 창출은 1000명 이상이 목표다. 소요 예산은 연간 국비 100억원씩으로, 5년에 걸쳐 500억원을 필요로 한다.


오은지기자 onz@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