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코넥스, `제2의 프리보드`여선 곤란

다음 달부터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KONEX:코넥스)이 열린다.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이 18일 국무회의의를 통과해 법적 정비도 거의 마무리 됐다. 코넥스가 창조경제 마중물 구실을 하도록 잘 살피는 일만 남았다.

코넥스는 기술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을 매끄럽게 하고 회수와 재투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만든 새 자본시장이다. 곧바로 상장하기엔 부족하지만 전망 밝은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을 돕는 좋은 통로다. 이 시장이 이른 시일 내 안정돼야 침체한 유가증권과 코스닥 시장도 활기를 되찾는다. 이 점에서 정부가 코넥스 상장법인 규제를 완화한 것은 바람직하다.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와 합병 규제 완화, 감사인 지정 의무 면제, 재무제표 국제회계기준 적용 예외 등이다. 상장법인뿐만 아니라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요소들이다. 시장을 조기에 정착시키겠다는 정부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코넥스 상장 법인들은 정책적 배려를 바탕으로 자금을 잘 조달하고, 동시에 상장 기업이 갖춰야 할 의무와 책임도 미리 배울 기회로 삼아야 한다.

일부 투자자들의 지나친 욕심이 벌써 걱정된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엔 금리 이상만 이익을 거둬도 성공이라 여기는 건전한 투자자도 있지만 이른바 `대박`만 꿈꾸는 투기꾼도 제법 많다. 그 틈을 비집고 작전세력이 끊임없이 준동한다. 투기로 인한 불신은 주식시장 침체에도 결국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10년 전 코넥스 전신인 `프리보드` 시장이 유명무실해진 것도 결국 만연한 투기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이 전철을 밟아선 안 된다.

금융당국은 증권사로 하여금 코넥스 상장기업을 엄선하고 철저하게 관리하도록 했다. 시장 안정을 위해 이해할 수 있는 조치다. 다만, 한시적인 조치여야 한다. 당장 코스닥에 가도 될 만한 검증된 기업만 있다면 역동적인 시장 형성은 어려워진다. 상장 유입이 적어지고 거래 역시 한산해진다. 투자자 제한도 조기에 풀어야 할 것이다.

조기 정착과 시장 안정은 어떻게 보면 상충된 과제다. 동시 해결이 쉽지 않다. 금융당국이 더욱 시장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정교하면서도 유연하게 대응해야 가능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