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산업 육성과 부산 해양플랜트 연구개발(R&D) 특구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는 풀어야할 숙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주재로 지난 5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부산 R&D특구 산학연 대표단 간담회`에서 산학연 대표들은 정부 정책에 대한 소통과 R&D 확대, 지자체와 기관별 해양플랜트 중복사업 조정, 국내 플랜트 발주와 연계한 해양플랜트 기자재업계 지원 등을 폭넓게 건의했다.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오른쪽 두번째)이 부산특구 산학연 간담회에서 업계 대표 얘기를 들으며 메모하고 있다.](https://img.etnews.com/photonews/1307/450007_20130705165705_441_0001.jpg)
김강희 동화엔텍 회장은 “해양플랜트산업 육성의 토대가 돼야 할 조선기자재업계는 현재 생존을 고민하는 상황인데 정부는 해양플랜트의 긍정적 미래만을 내세워 다그치는 것 같아 괴리감이 크다”며 “산학연관이 서로에게 무엇을 바라고,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소통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해양플랜트기자재 국산화에 대한 정부의 지원 확대에 목소리를 높였다.
조효제 해양대 교수는 “해양플랜트산업 육성 발전은 해양플랜트기자재 국산화가 관건이다. 20%에 불과한 해양플랜트기자재의 국산화율을 높이려면 현 부산특구의 연구개발비 60억원 규모로는 부족하다”며 특구 R&D 확대를 요청했다.
또 김종현 한국선급 수석연구원은 “국내 발주 플랜트에 국산 해양플랜트기자재를 사용하도록 유도해 중소기업의 납품 실적을 쌓는 것이 시급하다”며 시장 진출을 직접 지원하는 단기 사업의 확대를 제시했다.
해양플랜트산업 육성의 중복성, 중소기업의 전문인력 수급난 문제도 나왔다.
이영원 세화그룹 대표는 “해양플랜트 핵심인 설계 엔지니어링 인력이 대부분 대기업으로 빠져나가 구하기가 어렵다. 인력 수급에 숨통이 트일 줄 알고 울산에서 부산으로 이전했는데 상황은 비슷하다”고 토로했다.
이종갑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플랜트산업화지원센터장은 “지자체와 공기관 등이 경쟁적으로 해양플랜트 사업을 추진하면서 역량이 분산되고 있다는 우려의 소리도 나온다”며 “그런 점에서 부산 R&D특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이재구)은 이달 초 22억원을 지원하는 부산특구 `특구기술사업화 사업` 신규과제 7개를 선정 완료하고 사업에 착수했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