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수정안대로 하면 과학벨트 2019년 완공...IBS 내년 상반기 착공

과학벡트 수정안 논란 증폭

미래창조과학부와 대전시 간 과학벨트 수정안 협약 체결로 과학벨트 조성 사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행정적으로는 8월 중 과학벨트 기본계획이 확정된다. 이어 미래부가 9~10월내 특구개발계획을 변경하면 대전시가 12월 중에 과학벨트 실시계획을 승인해 행정절차를 마무리한다.

IBS 이전에 따른 과학벨트 거점지구 확장 지형도
IBS 이전에 따른 과학벨트 거점지구 확장 지형도

이 절차를 모두 거치면 내년 상반기에 IBS 건물이 착공돼 과학벨트 조성 사업이 본격 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과학벨트 핵심 연구기관인 IBS는 엑스포과학공원내 부지 26만4000㎡에 조성된다. 이르면 2016년 하반기에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IBS 조성 사업과 맞물려 대전시 엑스포재창조 사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미래부와 대전시가 함께 힘을 보탠다.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만들기 위한 엑스포재창조경제시설이 IBS와 동시에 엑스포과학공원에 들어선다. 과학벨트와 대덕특구를 연계한 신성장 동력 창출 거점으로 조성된다.

사이언스타운이 대표적 거점 공간이다. 대덕특구를 대표하는 랜드마크 시설로 건립된다. 창조경제 주체들에게 정보 공유,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키워줄 수 있는 공간이다. 조성비 2500억원 중 500억원을 미래부가 지원한다.

창업, 아이디어 실험, 지식 및 기술거래, 복지시설 등 복합공간도 들어선다. 기업, 출연연이 보유한 핵심 기술 및 성과물을 거래·공유할 수 있는 기술거래소를 비롯해 연간 일정 비용을 지불하면 첨단 장비를 활용해 개인 아이디어를 실험하거나 구체화할 수 있는 테크숍이 설치된다. 출연연 연구개발(R&D)성과를 기업과 연결시켜 줄 수 있는 기술사업화검증센터와 벤처기업 입주공간도 마련된다.

IBS와 함께 과학벨트 양대 축인 중이온 가속기 구축 사업도 내년부터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완공을 목표로 대전시 신동 부지 343만2000㎡에 가속기를 비롯해 공공시설과 상업시설 등이 들어선다.

현재 가장 큰 문제는 부지 매입에 따른 보상비 확보다.

정부는 올해 추경에서 300억원을 마련한데 이어 내년에 420억원을 추가로 확보해 부지 조성 주체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전체 부지 매입비 예상액은 1조3000억~4000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중 미래부는 신동지구 중이온가속기 부지(28만㎡) 매입비 전액(4800억원)을 국비로 지원한다.

2017년까지 부지 조성이 끝나면 2019년까지 가속기가 구축된다. 과학벨트 핵심 시설인 가속기는 핵물리, 천체물리, 원자력, 생물, 의학, 원자 및 고체물리 등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에 사용되는 다목적 연구시설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미래부와 협약이 체결된 만큼 2년여간 제자리 걸음에 머물러있던 과학벨트 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르게 됐다”고 말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