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지방소재 기업은 창조경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10개 중 6개 기업은 관련 사업을 추진할 뜻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방소재 기업 400개(매출액 상위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93.6%의 기업이 `창조경제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창조경제 관련 사업에 나설 의향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61.1%가 의향이 있다로, 없다는 기업(38.9%)보다 훨씬 많았다.
추진 의사가 있는 기업은 기술혁신(43.8%), 산업간 융합(24.2%), IT·SW와 접목(15.8%), 디자인·컨텐츠 강화(13.0%) 등에 관심을 보였다. 추진방식은 정부사업 활용(30.5%), 독자 추진(20.4%), 공동투자(19.8%) 순이었다.
추진 의사가 없는 기업은 투자자금 부담(47.1%), 내부공감대 미흡(15.0%), 이해부족(12.4%) 등을 이유로 들었다.
대한상의는 “새 정부가 창조경제를 표방한 영향도 있지만 후발국의 도전, 기존 추격형 전략의 한계 등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혁신에 주목하는 것 같다”며 “정부는 기업이 바라는 사항을 파악해 정책에 반영해 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수도권 소재 기업에 비해 지방 기업의 연구개발 수준이 낮다고 응답한 비율은 50.1%로 절반을 넘었고, 연구개발 역량 중 취약분야로는 시제품 개발(27.5%), 기초연구(24.9%), 제품양산(20.1%), 제품기획(15.5%) 등을 꼽았다.
연구개발의 어려움은 인력운용 애로(48.6%), 정보 부족(12.5%), 협소한 시장(12.2%), 협력 네트워크·협업 풍토 미비(10.9%) 등이 나왔다.
지방 기업들은 지역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사업화 지원(33.3%), 금융지원 확대(18.8%), 기술투자 세제혜택 강화(17.6%)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산학연·기업 간 협력풍토 강화(20.9%), 융·복합화를 가로막는 규제 개선(19.8%),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회분위기 조성(19.3%) 등을 주문했다.
전국취재팀 win@etnews.com
-
임동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