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수출의 질적 성장을 이루기 위해 단발적인 접근이 아니라 전자정부 전체적인 접근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이 추진하는 한국형 전자정부 모델 기반 국가 전자정부 수립 사업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는 우즈베키스탄과 지난 2012년 9월 정보화 협력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이어 우즈베키스탄은 김남석 전 행안부 1차관을 정보통신기술(ICT)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임했다. 국내 공무원이 우즈베키스탄의 정식 고위 공무원으로 근무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철수 전 경원대 교수는 타슈겐트 ICT대학교 부총장으로 부임했다.
우즈베키스탄은 한국형 전자정부를 모델로 전체적인 국가 정보화 마스터플랜을 수립, 첫 전자정부 서비스를 시작했다. `예딘느이 뽀르탈`이라는 이름의 전자정부 서비스는 공문서 발급 및 접수, 세금조회, 부동산 법률 등 60개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 안행부 관계자는 “향후 우즈베키스탄이 한국형 전자정부를 모델로 수립한 마스터플랜 기반으로 다수의 전자정부 사업들을 발주하게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 기업이 사업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선진국의 자국 예산으로 추진하는 전자정부 사업 수주도 늘어나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레인 등기 전산화 사업 수주다. 바레인은 아랍아메리트연합(UAE) 두바이, 카타르 도하와 경쟁하기 위해 `바레인 2030 플랜`을 수립해 전자정부를 구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바레인의 자체 예산으로 발주한 이 사업을 글로벌 유수 기업들과 경쟁해 수주했다. 최근 중동과 중남미 등에서 이러한 해당 국가 예산으로 발주되는 전자정부 사업 수주 사례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