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포커스]디젤차 판매 ↑, 저배기량차 ↑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디젤 차 판매 비중이 커지면서 전통적으로 가솔린에 강점을 보이던 일본차 제작사도 디젤 모델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사진은 인피니티 디젤 엔진.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디젤 차 판매 비중이 커지면서 전통적으로 가솔린에 강점을 보이던 일본차 제작사도 디젤 모델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사진은 인피니티 디젤 엔진.

수입차는 디젤차 일변도다. 이와 함께 저배기량 차종도 덩달아 판매가 늘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통계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수입차 전체 판매량은 8만9440대다. 이중에서 디젤이 5만3916대로 전체의 60.3%, 가솔린은 35.8%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엔 각각 48.8%, 46.9%로 대등한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쏠림 현상이 커졌다.

이 기간 중 디젤 점유율이 60% 아래로 내려간 건 4~6월이다. 4월과 5월은 하이브리드 판매가 늘어 점유율이 기존 3%대에서 6%대까지 올라섰다. 그리고 6월은 도요타가 할인판매를 앞세운 덕에 캠리가 베스트셀링카 2위에 오르며 가솔린 점유율이 높아지기도 했다. 하지만 7월들어 다시 연평균 수준으로 돌아왔다.

디젤차 판매가 늘었을 땐 배기량 3000cc 미만 차종 판매도 덩달아 늘었다. 올해 배기량 3000cc 미만 차종의 점유율은 무려 85.82%에 달한다. 저배기량 차종 판매량이 연간 평균치보다 높았을 땐 디젤차 점유율이 60%를 넘겼지만, 낮았던 시기는 4~6월로 디젤 점유율이 60% 아래로 떨어졌을 때와 일치한다.

수입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런 현상은 적은 배기량으로도 큰 힘을 낼 수 있는 디젤차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앞으로도 소형 디젤차 출시가 늘어날 예정이어서 이런 현상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박찬규 RPM9 기자 sta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