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2일 전력예보 대책 전 최대 전력수요 8050만㎾, 상시대책 시행 시 최저 예비력 160만㎾(경계) 예상, 심각한 예비전력 부족으로 절전참여 절실함.”
말복인 12일 새벽 4시 전력 관계자들에 뿌려진 문자메시지 내용이다. 휴가복귀에 따른 전력사용량 급증이 현실로 다가왔다. 전력당국은 지난주부터 전력난을 예고했지만 전력예비력 예측은 400만㎾ 안팎을 오갔다. 전력수요예측이 100만㎾ 수준을 오가는 심각한 위기상항을 예고한 것은 올 여름 들어 처음이다.
전력당국은 15일 광복절까지의 3일이 이번주 전력수급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주말부터 내내 이어지는 폭염은 다음주까지 전력사용을 더욱 부추길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산업계 휴가기간이 이번 주까지인 점을 감안하면 내주에도 전력수급 위기상황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먹는 하마는 냉방수요
전력당국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곳은 냉방 수요다. 냉방 수요는 공장, 업무 공간, 상가, 가정 할 것 없이 사회 전반적으로 발생하는 전력수요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가장 전력사용량이 많은 곳은 산업 부문이지만 실제 전력피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냉방 수요로 지목된다. 올 여름 본격적인 전력난이 장마가 끝난 지난주부터 시작된 것에서도 냉방 수요의 영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최근 전력수급현황 그래프에서도 이 같은 현상은 뚜렷하다. 오전 11시와 오후 2시를 전후해서 전력수급현황 그래프는 롤러코스터를 탔다. 냉방수요 증가로 급격히 떨어지던 예비율 곡선은 오전 11시와 오후 2시 대용량 사업자 절전규제 시간을 기점으로 소폭 올라서거나 일시적 방어선이 형성된다. 이후 퇴근시간인 오후 6시를 넘겨야 전력수급경보를 해제하는 패턴이 반복된다. 이 방어선을 지키는 것이 올 여름 전력난의 핵심이다.
◇잡기 힘든 에어컨 전력
전력거래소가 파악하는 현재 냉방 수요는 약 2000만㎾ 수준이다. 발전소로 따지면 원전 20기에 달하는 양으로 국가 전체 전력공급량의 4분의 1, 가장 전력사용 비중이 높은 산업부문 소비의 3분의 2에 달한다.
전력당국의 가장 큰 우려는 휴가복귀와 더위 누적효과에 따른 냉방 수요 증가다. 지금까지의 전력수급 패턴을 보면 냉방 수요는 각 가정에서 보다 업무공간에서의 활동시간이 많은 평일에 늘어나는 양상을 보인다. 가정에서는 절전 실천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생업 현장에서의 절전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나마 고객들의 자율 절전도 더위 누적효과에 따라 그 기대치가 낮아지고 있다. 전력거래소는 12일 최대 전력수요를 높게 예측한 이유로 지난주 목요일부터 주말까지 30도를 넘는 더위와 열대야가 계속된 점을 들었다. 전력업계는 더위 누적효과에 따른 냉방 수요 절전 한계치를 3일로 보고 있다. 무더위가 3일을 넘게 지속하면 에어컨 가동을 자제하던 고객들도 한계에 다다른다는 분석이다. 이번주는 그 더위 누적효과 한계치를 넘어선 고비인 셈이다.
◇당국 비상 체제 돌입
이번주 고비를 넘기는 방안은 냉방 수요 절감과 오전 11시와 오후 2시의 피크시간대 절전에 달렸다. 전력당국은 사무실 냉방온도를 26도 이상으로 맞추고 30분 정도 냉방기를 꺼두는 간헐 운전 등을 권유하고 있다. 또 피크시간대에 세탁기 및 전기밥솥과 같은 다른 전자제품 사용을 지양하고 비사용 전자제품은 코드를 뽑아 대기전력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전력 업계는 너나 할 것 없이 SNS를 통해 절전 동참을 홍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절전규제와 사업장 휴가일 수 조정, 발전소 초과 출력 등 가용한 자원을 모두 동원하고 있다.
산업부는 최악의 전력위기에 대비해 공공기관에 비상시에 준하는 절전대책을 시행한다. 근무시간에 공공기관의 냉방기와 공조기 가동을 전면 금지하고 실내조명도 원칙적으로 소등키로 했다. 사용하지 않는 사무기기, 냉온수기, 자판기 전원 차단 등 자율단전을 실시하고 승강기 사용도 최소화하기로 했다.
특히 500㎾ 이상 비상발전기를 보유한 공공기관은 오후 2∼6시에 비상발전기를 최대한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민간부문도 문열고 냉방영업, 냉방온도 제한에 관한 정부·지자체 합동점검을 매일 실시키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냉방 전력수요가 집중되는 에너지 다소비 건물을 대상으로 행정력을 집중 투입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조정형·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