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LED 조명시대 온다-보급률 10% 한국, 대중화·기술력 두마리 토끼 잡아야

개화하는 LED조명 시장

한국은 세계 LED 패키지 5위권에 3개 회사가 포진했다. 사파이어 웨이퍼와 잉곳 등 후방 생태계도 잘 갖춰져 있다. 하지만 LED 조명 보급률은 10% 내외에 불과하다. 지금까지 LED 산업 구조가 LCD 디스플레이 백라이트유닛(BLU)에 집중된 까닭이다. 전력 절감 효과가 있는 LED 조명에 대한 수요가 그리 크지 않았던 탓도 있다. 지난해부터 전력난이 심각한 문제로 부상했지만 이전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전기료로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사용해도 무방했기 때문이다.

`블랙아웃` 위기에 처한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적극적으로 LED 조명을 보급할 필요성이 생겼다. 지난해 3월 산업통상자원부(당시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LED 조명 보급 정책은 공공 수요를 늘리는데 집중됐다. 산업단지, 학교 등에 LED 조명을 확산시키는 한편 신축 공공건물은 LED 조명을 쓰도록 의무화하고, LED 조명 절감 효과를 홍보한다는 내용이다. 시설 보완 시에 기술·자금을 지원하는 `에너지서비스기업(ESCO)` 사업으로 자금 지원 정책도 병행했다. 하지만 국내 조명 시장 대부분을 차지하는 민간 수요를 창출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내년부터 백열등 제조·수입이 금지돼 그나마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오스람·필립스 등 글로벌 조명 업체 기술력도 뛰어넘어야 한다. 미국 정부가 `에너지스타` 인증 기준을 새로 마련해 깜빡거림(플리커)을 규제하기로 했지만 한국 인증 표준에는 이 규정이 아예 없다. 에너지스타 새 기준에 따르면 LED 조명 퍼센트 플리커(플리커 정도를 수치화 한 것)는 20% 이하(최고 밝기가 1일 때 최저 밝기가 0.666 이상), 플리커 인덱스(빛의 밝기가 변하는 1주기 내 평균 밝기를 초과한 정도)는 주파수 100Hz 기준 0.15 이하가 돼야 한다. 유럽·일본도 플리커 인증 기준을 정하는 등 표준을 강화하는 추세다.

한국은 고효율·KS 인증 모두 플리커 기준 조항이 아예 없다. 기술표준원 측은 플리커의 유해성이 아직 연구 단계에 있고, 산업 활성화를 위해 플리커 기준을 뺐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상대적으로 완화된 기준에 맞춰 제품을 제작하면 결국 국내용 제품밖에 만들지 못할 것”이라며 “인증 기준을 높여 수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오은지기자 onz@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