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캐피털, 보험, 상호금융 등 제2 금융권 대출 금리가 연내 대폭 인하될 전망이다.
제2 금융권 대출 금리에 대한 등급별 비교 공시가 강화되며 대출 금리 인하 요구권이 모든 업종에 적용된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제2금융권 대출금리 산정 모범 규준`을 마련해 카드사와 캐피털, 신용협동조합, 저축은행, 보험사의 대출 금리 인하를 유도하기로 했다.
이 모범 규준에는 대출자금 조달원가와 업무원가, 신용원가, 영업마진 등이 반영되고 대출금리 산정 및 운용에 대한 내부 통제 절차까지 규정된다.
금융감독 당국은 “제2금융권의 대출금리 산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해 결과적으로 제2금융권 금융사들이 대출 금리를 내리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경기불황 장기화로 가계 부채가 1000조원에 육박하는 등 빚더미에 오른 서민이 급증한데다 최근 전·월세 가격 폭등으로 가계발 금융 대란까지 우려되는데 따른 대책이다.
또 최근 대부업이 공격적 영업을 선언하면서 최저 금리를 연 10% 중반대까지 내리면서 저신용자 고객 시장을 급격히 잠식하고 있다는 위기감도 작용했다. 대부업은 제도 금융권이 아니므로 금융감독 당국으로서는 통제가 안 되기 때문이다.
현재 시중은행의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연 4~10%지만 제2금융권인 카드사의 카드론은 최고 연 28%, 현금서비스는 최고 연 30%에 이르고 있다. 캐피털의 신용대출 금리는 평균 연 20% 중반대다. 저축은행의 가계 신용대출은 최고 연 35.9%며 신협은 가중평균금리가 연 7~10% 수준이다.
금융감독 당국 관계자는 “제1금융권과 금리차가 너무 커서 시중은행에서 돈을 못 빌리면 고금리 부담이 커진다”면서 “대출금리 모범 규준을 준수하다 보면 자연스레 금리가 떨어져 금리 단층화(급격 상승)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연내 제2금융권 대출금리 산정 모범규준과 함께 대출금리 비교 공시 강화도 이뤄진다.
10월부터 카드사와 캐피탈사의 회원 등급을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에 따라 통일해 대출 금리와 할부 금리를 공시할 계획이다. 보험사의 약관 대출 및 중소기업 대출 금리에 대한 비교 공시도 강화된다.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