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2%로 부족한 전기차 셰어링, 방법 없나…

2% 부족한 전기차 셰어링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시간만큼 차를 빌려 탈 수 있는 `전기차 셰어링(EV Sharing)` 서비스가 국내 도입 된지 100일이 지났다. 충전인프라 부족 등 당초 예상과 달리 서비스 이용자 수는 현재까지 7000명을 넘어섰고 이용률도 매달 10%씩 늘어나는 추세다. 민간 서비스 업체도 차량 등 서비스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정부도 친환경 교통인프라 구축과 교통난 해소를 위해 전기차 셰어링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하지만 아직 개선해야할 문제점이 많다. 서울을 중심으로 전기차 셰어링 서비스 사업에 대한 발전 방향과 풀어야할 과제를 짚어본다.

[이슈분석]2%로 부족한 전기차 셰어링, 방법 없나…

◇내 차처럼 편리하지만 아직 2%부족

전기차 셰어링 서비스는 지난 5월, 국내 처음으로 서울에서 시작됐다. 자동차가 교통 혼잡과 환경오염 등으로 골칫덩이가 되면서 친환경차를 이용한 일반인 대상 전기차 시대가 열린 것이다. 서울시는 환경부의 전기차 구매보조금 지원 사업을 통해 186대의 전기차를 확보하고 서비스 사업자로 4개 컨소시엄(에버온·코레일·한카·KT)을 선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한국전력을 주관사업자로 AJ렌터카를 통해 20대의 전기차를 서비스 중이다.

카 셰어링은 1대의 차량을 여러 사람이 필요한 시간에 맞게 나눠 타는 것으로 최소 하루 단위로 차를 빌려 타는 렌터카와 구별된다. 차량 1대 당 최대 10대의 자동차 저감효과가 있어 교통 혼잡, 주차 문제, 대기 오염 개선에 효과가 크다. 더욱이 내연기관차가 아닌 전기차로 운영돼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친환경 교통 인프라로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때문에 프랑스 파리, 독일 베를린 등 유럽 대도시 중심으로 이미 수천대의 전기차를 이용한 셰어링 서비스가 활발하다. 서울도 전기차 셰어링 서비스가 시작된 지 100일만에 이용률이 꾸준히 증가하며 지금까지 7000명이 이 서비스를 이용했다.

하지만 아직 개선해야할 문제가 많다. 충전설비를 갖춘 전용 주차장 미확보, 편도 서비스 제한 등 불편함으로 서비스 업체들이 확보한 206대 차량 중 실제로 서비스 중인 차량은 150대에 불과하다. 차를 확보해 놓고도 사업성을 저울질하며 방치하고 있는 것이다.

송기호 에버온 사장은 “전기차 셰어링을 한번이라도 이용한 고객은 내 차처럼 편리하게 이용한다는 장점 때문에 이용률은 조금씩 느는 추세”라며 “서울 수도권 지역에 자연적으로 배치될 정도로 차량 수와 전용 주차장이 확보된다면 서비스는 더욱 활발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반쪽짜리 서비스

서울시 전기차 셰어링 서비스의 최대 단점은 적은 차량 숫자다. 각기 다른 사업자가 서비스 중인 차량을 모두 합해도 150대뿐이다. 이 숫자로는 `편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차량 대여와 반납을 한 곳에서 해야 하기 때문에 `왕복 서비스`만 가능하다. 차량을 빌려 출근한 후 업무를 마칠 때까지 회사 주차장에 세워두고 퇴근 이후 같은 장소에 차량을 반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정작 출근 시간부터 퇴근 전까지 약 8시간 동안은 주차장에 방치된 채 비용은 비용대로 들어가는 셈이다. 그렇다고 공백 시간 동안 다른 사람이 이용할 수도 없다. 반납처리가 되지 않아 사용 인증처리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프랑스 파리의 전기차 셰어링 서비스인 `오토리브`는 최초 1500대의 전기차와 충전기가 설치된 전용 주차장 2.5배를 확보한 상태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지난 5월 기준으로 차량 수는 2000대로 늘었고 주차장 확보률도 2.5배를 유지하고 있다. 파리시가 직접 나서서 인구가 주로 몰리는 시내 번화가나 거점지역에 전용 주차장을 확보한 정책이 주효했다. 관련 업계도 일정 수 이상의 차량과 주차장이 확보되기 전까지는 편도 서비스가 어렵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용고객이 늘면서 편도 서비스를 문의하는 고객이 늘고 있다”며 “자체 운영 시뮬레이션 결과 최소 1500대의 차와 차량 당 2배 정도의 전용주차장이 확보돼야 일부 관리 인력이 투입되더라도 편도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있는데도 활용 못하는 불편한 진실

서울 수도권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의 사용카드가 호환되지 않아 이용자들의 불편함은 가중 되고 있다. 현재 서울 수도권에 운영 중인 전기차 충전소의 급속충전기는 47기, 완속충전기는 61기다. 한번 충전으로 운행거리 100㎞ 안팎인 전기차의 성능을 고려하면 서울 수도권 내 이동은 이들 충전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하지만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설치한 충전기 간 사용자 호환이 안 돼 이용이 어렵다. 여기에 이용요금 등의 이유로 서비스 사업자별로도 사용자 호환도 안 된다. 결국 해당 서비스 사업자의 충전기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제 서울 수도권 내 전기차 충전소 5곳을 방문해 보니 환경부가 인증한 충전기 카드로는 한전이 운영하는 충전소는 사용할 수 없었고 전용 카드를 빌려서 충전을 하더라도 별도의 주차비를 지불해야만 이용 가능했다. 또 차량 내비게이션에 검색된 주소의 충전소를 찾아가면 주로 공공기관 내 주차장이나 건물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출입이 어렵고 근무시간 이외 야간 시간에는 사용이 더욱 불가능했다.

정부는 서비스 주체별로 보급 및 사업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호환을 제한했다. 올해 초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호환 문제를 해결한다고 했지만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