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홈네트워크, 유지 보수 사각지대…정기 유지보수 받는 곳 전체 20%에 불과

삼성SNS 직원들이 서울 한 아파트 단지내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유지보수 하고 있다.
삼성SNS 직원들이 서울 한 아파트 단지내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유지보수 하고 있다.

주요 아파트와 건물 등에 홈네트워크 도입이 늘고 있지만 꾸준히 시스템을 유지보수 하는 곳은 전체의 2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문제시 임시방편식 고장처리만 하면서 첨단시스템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외부인 출입 등 보안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해외 디도스 공격의 경유지로 아파트 홈네워크 서버가 사용되기도 했다. 보다 철저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 홈 네트워크 시스템 유지보수 대상 가구는 약 30만 세대(465개 현장×약 600세대)다. 이 가운데 전문업체와 공식 유지보수 계약을 맺고 관리 되는 곳은 약 6만 세대로 전체의 20%에 그치고 있다.

초기 무상서비스 기간이 끝난 현장의 경우, 고장이 발생하면 수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시스템 구축 이외에 서버와 공용부, 세대기기별 제조업체가 다른 경우가 많아 원인 파악마저 쉽지 않은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설치 후 수년이 경과한 현장에서는 장비 공급업체가 사라지면서 대체품을 구하기 어려워진 경우도 있다.

1600세대 규모인 부산 A주상복합 아파트는 지난 4월 해외 디도스 공격에 의한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에 고장이 발생했다. 일부 PC 바이러스로 인해 방화벽장비에도 과부하가 걸렸다. 수리에만 2주 이상 시간이 걸리면서 수리기간 현관문을 모두 개방해야 했고 각 세대 월패드까지 전면 사후관리(AS)를 받았다.

서울 신정동 아파트단지는 여름철 낙뢰 사고로 지난주 세대간 통화단절, 출입문 제어 불능이 발생했다. 유지보수 계약업체가 없어 수리할 기업을 찾는 데도 시간이 걸렸다. 이 아파트는 최종 수리 완료까지 약 한 달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아파트나 대형 건축물이 고가의 홈네트워크를 설치하고도 유지보수 도입에 소극적인 이유는 엘리베이터와 달리 수시점검 의무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적은 금액이라도 매달 관리비용이 발생하는 데 입주민들의 부정적 인식이 있다는 것이다.

삼성SNS의 한 관계자는 “홈네트워크 유지보수 소홀은 출입통제, 외부인 감시에 문제를 초래하면서 큰 피해를 불러올 수도 있다”며 “주민 안전을 높이고 초기 비용이 많이 든 고가장비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도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포함한 지속적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업계는 홈네트워크 유지보수 기준에 대한 가이드 마련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하지만 홈네워크 자체가 의무 설치 대상이 아닌데다, 현장마다 설치 규모나 제품 규격도 모두 다르다. 정부가 유지보수 의무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힘든 이유다.

국내 홈네트워크 시장에는 삼성SNS와 현대통신, 코콤, 코맥스 등이 주요 사업자다. 업체들도 건축 경기에 민감한 홈네트워크 구축 이외에 유지보수 사업 확대를 원한다. 수주 사업이 아닌 안정적 수익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주요 홈네트워크 업체들이 유지보수 대응팀을 확대하면서 유지보수 영업을 강화하는 추세”라며 “서버와 공용부, 세대기기를 통합관리하면 장비 고장을 예방하는 것은 물론 주민들의 보안강화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