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앞에 충전기가 있어도 운영주체가 달라 사용이 제한됐던 서울 수도권 내 전기자동차 급속충전 서비스가 하나로 통합된다. 이용요금 등의 이유로 사업자별 호환이 되지 않았던 불편함이 해소되면서 전기차 이용이 늘어날 전망이다.
환경부는 서울시, 한국전력과 협력해 서울 수도권에 설치된 55기의 급속충전기 사용자 인증방식을 하나로 통합한다고 27일 밝혔다. ▶본지 8월 22일자 4면 참조
이에 따라 환경부가 보급한 급속충전기(40기)와 한전의 급속충전기(11기), 서울시의 급속충전기(4기) 전부를 하나의 사용자 카드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한번 충전 시 운행거리가 100㎞ 안팎인 전기차의 성능을 고려하면 서울 수도권 내 이동은 이들 충전기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평가다.
세 기관은 다음 달 9일까지 충전기의 커넥터와 충전 프로토콜 등을 포함해 사용자 인증방식 호환을 위한 작업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공공기관이나 개인이 보유한 전기차와 서울시·한전의 전기차 셰어링 이용자도 서울 수도권 내 모든 급속충전기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급속충전기는 50㎾의 고출력을 이용해 20분 전후에서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환경부는 올해 급속충전기 100기를 사용자 접근이 쉬운 대형마트, 공영주차장 등에 설치할 계획이다.
급속충전기 이용 전기요금도 당분간 무료로 서비스된다. 세 기관은 9월부터 2개월간 무상으로 시범 운영한 후 이용 현황을 분석해 유료화에 필요한 요금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또 세 기관의 충전기 사용정보 등을 정기적으로 공유해 서비스 질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공공기관이나 건물 내부 등에 일부 설치된 충전시설은 전기차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건물 외부 등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 재설치할 계획이다.
양창주 환경부 교통환경과 사무관은 “사업자별로 제공하는 사용자 카드 하나면 서울 수도권 내 모든 급속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에 필요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55기의 급속충전기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서울에서 경기 외곽까지 전기차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어 전기차 셰어링 사업이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