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김빛내리 교수, 한국 최초 노벨상을 향하여!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로 손꼽혀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RNA생물학연구실 교수(45). 황우석 박사 이후 대한민국에서 가장 스포트라이트를 많이 받는 과학자다. 올들어 터진 상복만 한번 따져 보자. 지난 7월 에쓰오일이 설립한 공익재단인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은 기초과학 분야 학술상인 `올해의 선도과학자 펠로십` 수상자로 김빛내리 교수를 선정했다. 6월에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국가대표 과학기술인을 선정해 시상하는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꼽혔다. 앞서 3월에는 서울대총동창회가 주는 `제15회 관악대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창간기획]김빛내리 교수, 한국 최초 노벨상을 향하여!

가장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로 꼽히는 김 교수는 한마디로 `스타`다. 국가는 김 교수에게 매년 최대 100억원 연구비를 지원한다. `영년직(테뉴어) 연구원` 자격도 별도 부여해 65세까지 정년을 보장해줬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김 교수는 “모두 큰 상이라 감사하면서도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다”며 “12년 전 유학을 마치고 처음 귀국했을 때의 마음가짐으로 더욱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대에서 미생물학으로 학·석사를 마친 김 교수는 이후 영국과 미국 등지에서 8년여 간 유학 생활을 했다. 대부분 국비 유학이었다. 김 교수는 “국민 세금으로 유학 갔다 오고, 또 지금도 그 돈으로 연구 활동도 하고 있는 만큼 국민적 기대에 부응하려 한다”고도 했다.

1969년 전남 영광에서 태어난 김 교수는 “그리 환영받지 못한 출생”이었다고 말했다. 아들을 바라던 가부장적 분위기의 가정에서 나고 자란 김 교수가 여성 과학자로서의 정체성을 찾은 건 영국 옥스퍼드로 유학을 가서였다. “거기서는 한국에서처럼 전형적인 현모양처형 여성으로 행동하지 않아도 됐어요. 그게 참 좋더라구요.”

한 인간으로서의 자아를 발견한 김 교수의 연구 성과 역시 그즈음부터 눈에 띄게 성장한다. `김빛내리` 하면 `마이크로RNA`가 연관 검색어로 도배될 정도로, 김 교수가 세계적으로 마이크로RNA 개척자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도 바로 그 때다.

유전병의 20% 이상이 RNA 결함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유전자 조절 물질인 마이크로RNA의 기능을 구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 교수는 마이크로RNA의 생성 원리를 구명하고 기능을 최초로 밝혀 마이크로RNA와 인간 질병과 관계를 밝히고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특히 김 교수는 해외 유학생활을 계기로 마이크로RNA 중요성을 인지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마이크로RNA 연구 분야를 `스스로` 개척했다. 이 점이 학계, 특히 세계 과학기술 무대에서 으뜸으로 손꼽히는 대목이다.

김 교수의 논문은 셀(Cell)에 9편, 네이쳐에 2편, 사이언스에 1편 등이 실렸고, 이들 논문은 지금껏 국제적으로 1만1000회 인용됐다. 이런 공로로 셀을 비롯해 유럽분자생물학기구(EMBO) 저널 등의 편집위원과 인터내셔널 RNA 소사이어티의 이사 등 여러 국제학회에서 주요 조직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특히 EMBO에는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외국인 회원에 선출되기도 했다.

특히 김 교수의 대표 업적으로 꼽히는 마이크로RNA 프로세싱 핵심효소인 `nuclear RNase Ⅲrosha` 발견은 세계 최초다. 이는 마이크로RNA 연구 분야의 새 지평을 연 업적으로 꼽힌다.

마이크로RNA의 생성과정을 밝힌 세계 최초의 과학자인 김 교수는 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RNA를 분리 동정하고 그 기능을 규명, 줄기세포와 암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김 교수는 “21세기에 가장 새로운 생명과학분야로 지목되는 RNA생물과학 분야에서 마이크로RNA의 생성 과정과 기능을 규명하는 세계적 선도과학을 현재 수행 중”이라며 “RNA가 줄기세포와 암의 형성과정에서 수행하는 제어 기전을 규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교수가 최근들어 지나치게 매스컴 등에 자주 오르내리는 것을 두고 우려의 시선을 보내는 이들도 적잖다. 박항식 미래부 과학기술조정관은 “김 교수에게 솔직히 좀 미안하다”며 “연구교수는 연구실에만 있게 해야 하는데, 최근 너무 여기저기 불려 다니게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여성으로서는 역대 4번째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아다 요나스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교수도 “김 교수는 매우 훌륭한 과학자”라면서도 “하지만 정부나 국민이 그녀에게 노벨상 수상을 지나치게 강요하는 것은 안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경계했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