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9·15 순환정전 이후 가장 주목받는 산업은 스마트그리드다. 국가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시켜 전력 수요와 공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개념이다.
지금까지는 일방적인 전력 공급에만 치중했던 전력체계를 실제 수요에 맞게 공급할 수 있다. 발전소 추가 건설로 전력 수요에만 대응하는 수준에서 아끼고 줄일 수 있는 지능형 체계로 전환된다. 이 같은 전력체계 핵심에는 버려졌던 잉여 전력을 저장해 다시 활용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중심에 있다.
지금까지는 수용가(가정·산업·빌딩 등)에 일방적으로 전달하고 남은 전기는 고스란히 버려졌다. 하지만 ESS의 등장으로 버려졌던 전기의 활용이 가능해졌다.
국가 전력수요공급 안정화는 물론이고 신재생 에너지원 확산 등 부가가치 창출에도 크게 기여한다. 특히 ICT를 활용한 각종 전력제어 기술로 그 활용가치가 확대되는 추세다.
이에 정부도 ESS 산업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ESS 세액공제, 차등요금제, ESS 설치 의무화 방안 등을 골자로 ESS 육성책을 전개 중이다. 심야시간과 전력피크 시간대 전기요금 차이를 늘리고 ESS의 저장전력을 팔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이다. 전기다소비업체와 기관에 ESS 설치를 권고하고 EMS 설치를 유도한다. 전기다소비 업체와 기관의 ESS 설치 실적이 부진하면 단계별로 의무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스마트그리드 도입 확대도 ESS 산업 활성화에 기폭제로 작용한다. 산업부는 스마트그리드 보급 사업으로 2015년까지 50만㎾, 2020년 200만㎾까지 보급할 방침이다. 이 같은 규모는 화력발전소 세 기를 대체할 수 있어 건설비용 4조5000억원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ESS 시장은 데이터센터와 전기차 등이 선도할 전망이다. 리튬이온 ESS를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 전원으로 채택한 데이터센터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여기에 내년부터는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PS) 의무대상자인 발전사업자에 ESS 설치가 의무화된다. 계약전력 30만㎾ 이상 대규모 전력사용자는 계약전력의 5% 이상 ESS를 설치해야 한다. 정부는 규제와 인센티브를 동시에 적용해 전력난을 극복한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력난이 심화되면서 전력공급중단 시 비상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ESS가 최근 전력난의 대안”이라며 “풍력, 태양광 등에서 만들어진 전력의 변동성을 조절해야 전체 전력 품질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ESS 활용가치는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