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민간발전 시대 약인가 독인가

민간발전시대의 명암

전력시장에 민간기업 진출이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기존 민간발전사들은 신규설비 확대와 기존 노후발전소 교체에 나서고 있고 그동안 관망만 해오던 대기업들도 발전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올 초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민간기업의 발전소 건설이 대거 확정되면서 바야흐로 민간발전 시대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반면에 민간발전 업계의 수익구조는 점점 약해지고 있다. 전력수급안정화를 위한 제도변화에 수익성이 변화하고 있고 늘어나는 경쟁자에 따른 발전소 가동률 저하도 예상된다.

[이슈분석]민간발전 시대 약인가 독인가

[이슈분석]민간발전 시대 약인가 독인가

◇민간발전 지난해는 `풍년`…올해는 `흉년`

민간발전 업계가 올 3분기 실적 저하를 예상하고 있다. 발전사업 한 해 농사 중 최고 호황기인 여름 시즌이 포함된 3분기지만 지난해와 같은 어닝서프라이즈는 불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불과 지난해 까지만도 황금알을 낳던 거위로 평가받던 민간발전 시장이지만 불과 1년만에 전력판매 여건 변화에 볼멘소리가 가득하다.

민간발전사들의 수익 저하는 전력가격 상한제가 시행된 올 초부터 예상됐다. 전력가격 상한제는 한국전력이 발전사들로부터 구매하는 전력가격에 한계를 둔 제도다. 시장가격이 아무리 올라도 실제정산은 제한가격으로 하는 제도로 지난해 전력사용량 급증으로 전력가격이 덩달아 뛰어오르자 이를 막기 위해 올 초부터 시행됐다.

전력가격 상한제가 없었다면 민간발전 업계에 있어 올해만큼 좋은 시기는 없었다. 한국수력원자력의 납품비리 문제로 다수의 원전이 정지했고 빈자리를 LNG 발전소들이 메웠다. 발전 원가가 비싼 LNG 발전소 가동이 늘면서 전력가격도 동반 상승했다.

하지만 이로 인한 반사이익은 없었다. 민간발전 업계는 원전 정지 이전부터 이미 다수의 발전소를 가동 중으로 원전 정지에 따른 매출상승 효과보다는 전력가격 상한에 따른 수익감소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전력가격 상한제 시행 당시 전력당국은 가격 상한선이 현실적인 수준으로 특이사항이 없는 한 이로 인한 발전사들의 수익 타격은 없을 것이란 입장이었다. 바람과는 달리 원전 정지라는 최악의 변수가 발생했고 초여름인 6월부터 총 30시간이 넘도록 시장가격이 상한제에 막히는 일이 발생했다.

그 결과 민간발전사 중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실현해 매번 초과수익 도마에 올랐던 SK E&S가 지난 2분기에 영업이익 1350억원을 기록, 지난 분기보다 600억원 이상 줄었다. 포스코에너지 역시 올 상반기 영업이익 1270억원을 기록해 지난해보다 100억원가량이 줄었다. 양사 모두 판매 전력 증가로 매출은 늘었지만 오히려 영업이익은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수익개선 터닝 포인트가 안 보인다

민간발전 업계는 향후 수익 여건 또한 그다지 희망적이지 않다는 데 우려를 표하고 있다.

당장 올 3분기에도 실적 개선을 전망할만한 신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전력시장의 전통적 호황 시즌인 8월에 전력가격 상한제가 20시간 넘게 발동했기 때문이다. 특히 8월은 실제 시장가격과 상한선간의 가격 격차가 ㎾h당 5원부터 9원까지 벌어지면서 수익부문의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들어 가장 많은 가격 상한선이 발동한 6월에도 시장가격과의 격차는 ㎾h당 3원 이하였다.

일부 민간발전 사업자는 여름철 전력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수요를 맞추기 위해 LNG 스팟 물량까지 구매하면서 연료비 지출도 늘어난 상황이다.

실적 저하 추세는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금융계에서는 신규설비 증설로 민간발전사들의 하반기 실적 개선을 전망하고 있지만 민간발전사들의 속내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신규설비 증대가 기존 설비 가동률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민간발전 업계는 5·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석탄화력발전소 증설에 따라 향후 몇 년 후에는 LNG발전소의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수시로 변화는 시장거래제도는 민간발전사업의 가장 큰 불확실 요인 중 하나다. 현재 전력시장에는 전력가격 상한제 이외에도 저원가 발전소에 대한 가격조정, 발전 대기비용 조정, 시설투자 상환비 조정 등 발전사들의 수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수의 제도변화가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재작년 9·15 순환정전 이후 시장거래제도에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논의되는 제도들 대다수가 시행 이후 민간발전사들의 수익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민간발전 업계에서는 정부가 전기요금 인상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매 시장에서 각종 제도를 신설해 시장가격을 왜곡하고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발전업계는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캐시카우 육성을 목적으로 발전시장에 뛰어들고 있지만 그 수익성이 과거에 비해 많이 떨어졌다고 입을 모은다. 올해 2분기와 3분기의 민간발전사들의 실적 저하는 9·15 이후 2년간 전력구매비 지출을 줄이기 위해 수정한 시장 제도의 결과라는 분석이다.

민간발전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최대였지만 올해는 전력가격 상한으로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된다”며 “민간발전의 이익을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전력시장 구조로 경영여건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8월 전력시장가격과 상한가격 현황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