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ICT 한류로 국격을 높인 IT서비스산업이 난관에 부딪쳤다. 각종 규제로 국내 시장에서 기존 사업은 한계에 봉착했다. 해외 사업에서 해법을 찾고 있지만 단기적 성과를 이끌어 내기는 쉽지 않다. 대형 IT서비스기업을 중심으로 해결방안 마련에 고심 중이다.
올해 IT서비스산업에 위기가 찾아왔다. 개정 소프트웨어(SW)산업진흥법 시행에 따른 공공정보화 사업 참여제한이 그것이다. 상호출자제한집단 그룹 계열사 간 내부 거래에 대한 정부 규제도 강화됐다. 대형 IT서비스기업들은 해외사업 등 해법 찾기에 나섰다. 일부 중견·중소 IT서비스기업은 아예 IT서비스 사업을 포기,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IT서비스 산업 몰이해로 각종 규제 시행
IT서비스산업에 첫 위기를 가져단 준 것은 개정 SW산업진흥법 시행이다. 상당수 IT서비스기업이 공공정보화 시장에 참여하지 못해 시스템통합(SI) 시장에서 매출이 감소했다. 국내 양대 대외 SI시장인 금융정보화 사업도 크게 줄어든 상황이어서 IT서비스기업의 타격은 컸다.
그룹 계열사의 정보화 지원 매출도 타격을 받았다. 일명 `일감 몰아주기 과세`가 강화되면서 계열사 간 거래가 제한됐기 때문이다. 계열사 매출에 의존하던 상당수 중견 IT서비스기업은 내부거래 비중을 줄이기 위해 매출 규모가 큰 하드웨어(HW) 유통시장에도 뛰어 들었다.
SW산업진흥법 개정과 일감 몰아주기 규제는 IT서비스산업을 적절히 이해하지 못한 결과라는 게 업계 전문가의 공통된 시각이다. IT서비스기업 관계자는 “SW산업진흥법 개정으로 IT서비스기업의 공공정보화 시장참여를 제한한 것은 SI와 SW산업을 구분하지 못한 결과”라며 “IT서비스기업을 배제할 것이 아니라 중소 SW기업과 융화되도록 환경을 만들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감 몰아주기 과세 강화도 IT서비스산업의 태생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다수 IT서비스기업은 그룹 계열사의 정보화 조직을 통합 `셰어드서비스`를 위해 만든 기업이다. 또 다른 IT서비스기업 관계자는 “효율적인 계열사 정보화를 위해 IT서비스기업을 탄생시켰는데, 이제 와서 그 일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신규 사업은 몰라도 운영사업은 일감 몰아주기에서 제외돼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사업 중심으로 제2도약 준비
경영 환경변화에 따라 IT서비스기업도 발빠르게 대응방안을 마련한다. 삼성SDS 등 대부분 IT서비스기업은 해외에서 해법을 찾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탈IT서비스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준비하고 있다.
삼성SDS는 글로벌기업 성장을 위해 지난 7월 사업구조를 개편, 해외시장 공략을 체계화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자체 개발한 공급망물류(SCL) 플랫폼 기반으로 물류IT사업도 강화한다. 이미 두산 등 대기업에 물류IT시스템을 공급했다.
LG CNS는 솔루션으로 해외사업을 강화했다. 공장구축 통합 솔루션인 `스마트 팩토리`, 우편물류 정보관리 솔루션인 `비바포스트`, 일본 특화 그룹웨어 솔루션인 `클로버`를 출시했다. 전기차 셰어링 서비스 사업과 무인헬기 사업으로 향후 사업구조를 개편하겠다는 의지다.
SK C&C는 북미와 유럽에서 성공한 모바일 커머스 시장 공략을 세계로 확대한다. 적용 범위도 스마트카드로 확대했다. 해외 온라인 기반 중고차 매매도 시장도 진출한다. 포스코ICT는 엔지니어링IT 사업으로 한계를 극복한다. 국내외에서 다수 엔지니어링IT사업을 수행했다. 2010년 포스데이터와 포스콘 통합으로 역량을 갖췄다. 롯데정보통신은 보안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 해외시장 공략한다. 현대정보기술은 의료IT 해외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한다.
주요 IT서비스기업의 환경변화 대응 방안
자료:각 사 종합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