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대기업 과반이 동반성장 전담조직 설치"

주요 대기업 10곳 중 5곳 이상이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설치하거나 임직원 인사평가에 동반성장 추진 실적을 반영하는 등 동반성장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는 지난 8월 12일부터 10월 4일까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금융·공기업 제외) 중 조사에 응한 261개사를 상대로 `동반성장 추진 현황 및 인식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응답 업체의 60.2%가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운영하고 있었고, 49.4%는 최고경영자(CEO)와 임직원의 인사평가에 동반성장 추진 실적을 반영한다고 답했다. 다만 기업 규모에 따라 동반성장 참여도는 달랐다. 전담조직을 운영 중인 기업이 1∼100대 기업은 90.0%에 달했지만 101∼200대 기업은 75.8%, 201∼500대 기업은 32.2%였다.

인사평가에 동반성장 실적을 반영하는 기업도 1∼100대 기업 중에는 83.1%나 됐지만 101∼200대 기업은 51.5%, 201∼500대 기업은 26.3%로 조사됐다. 기업 규모가 클수록 동반성장에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전경련 관계자는 “과거엔 동반성장지수 평가 대상기업(2013년 109개사) 위주로 동반성장이 활발히 추진됐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협력사의 역량을 높여야 한다는 인식이 과거보다 대기업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조사에 참여한 주요 대기업의 92.3%가 홈페이지 등 비대면 소통 채널을 통해 협력사의 애로를 수렴하고, 96.2%는 지난 1년간 협력사 현장을 방문했거나 방문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주요 대기업 10곳 중 8곳(79.3%)은 협력사와 서면계약 때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하도급계약서를 사용하고, 원자재가격 변동 등으로 협력사가 납품대금 조정을 요구하면 그 금액의 60.4%를 반영한다고 응답했다. 아울러 이들 대기업은 하도급법상 지급기일(60일)보다 두배 이상 빠른 25일 안에 협력사에 납품대금을 지급했다. 1∼100대 기업은 17.1일, 101∼200대 기업은 24.4일, 201∼500대 기업은 32.3일로 조사됐다.

동반성장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에서는 기업과 정부 간 괴리가 드러났다. 대기업은 협력사 경쟁력 강화(49.4%), 협력사와 소통 강화(23.0%) 등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지만, 정부는 하도급 공정거래 문화 정착(41.0%), 협력사 자금 지원 및 경영 개선(31.4%)이 중요하다고 대답했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