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한전PLC를 고집하는 이유

속앓이하는 한전PLC 사업

한전PLC에 대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의 우려와 달리 정부는 당초 계획을 그대로 유지할 방침이다.

자동차 제조사가 원하는 콤보 방식으로 방향을 전환하기보다는 기술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보겠다는 의지다. 반면에 업계는 우리 정부와 한전이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 쉬운 길을 나두고 굳이 어려운 길을 택하는 고집을 부리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슈분석]한전PLC를 고집하는 이유

[이슈분석]한전PLC를 고집하는 이유

우리 정부가 한전PLC를 쉽게 포기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동안 들인 공 때문이다. 산업자원부 시절부터 10년 가까이 900억원을 투입한 사업이다. 전선이 있는 모든 곳에 통신이 되게 한다는 목표로 국산화와 함께 해외시장 진출까지 큰 그림을 그렸지만 지금은 두 마리 토끼 모두 보이지 않는다. 정책을 추진한 정부나 기술을 개발한 한전 입장에서는 정책 실패 혹은 무능론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이를 이용한 성과가 절실하다.

정부와 한전에 있어 PLC 해외시장 개척 목표는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다. 이번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은 가장 크지만 마지막일 수도 있는 기회다. 정부는 국내 충전 인프라 시장이 초기인 만큼 외산차가 현지 환경에 맞춰 한전PLC 표준 규격을 따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에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의 생각은 다르다. 한전PLC의 ISO 국제표준(IEC12139-1)은 AMI 부문 표준이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표준이 아닌데다 공식적인 전기차 충전 인프라 표준은 곧 콤보 방식으로 결정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한전PLC는 기술의 수명을 늘리려는 시장장벽일 뿐 전기차 시장의 트렌드가 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사실상 시장 레퍼런스가 없다는 점도 약점이다. 2009년 ISO 국제표준에 지정된 후 4년이 지나도록 이렇다 할 적용사례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기술적 노력으로 한전PLC와 콤보 방식이 공존할 수 있도록 장기적으로 모색하겠지만 한전PLC를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국가 AMI사업 관련 민관 투입 예산 현황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