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에너지산업을 창조경제 견인차로"

박근혜 대통령은 16일 “에너지 산업을 창조경제 견인차로 발전시키고 창조형 에너지경제로 전환 경험과 노하우를 국제사회와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대구 세계에너지총회 특별세션 연설에서 “한국은 성공적 경험을 토대로 에너지 삼중고 해결을 선도하며 세계 에너지시장에 건설적 기여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한국 정부는 새 경제발전 패러다임으로 창의적 아이디어에 과학기술과 정보기술(IT)을 접목하고 융복합을 촉진해 새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조경제`를 추진하고 있다”며 “에너지 산업은 창조경제 패러다임이 빛을 발할 수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에너지 저장장치(ESS)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전력 소비를 줄이고 절약된 전력을 전력거래시장에서 판매하는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2017년까지 최대 100만KW 전력피크를 절감하고 3조5000억원 규모 시장과 1만5000개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에너지안보와 사회적 형평성, 환경영향 최소화 등 에너지 삼중고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에너지 협력 △에너지경제 모델 △에너지 정책과 제도 등 세 가지 차원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에너지 협력과 관련해 “에너지 소비국이 생산국 발전을 도외시한 채 에너지 확보에만 치중해서는 안되며 생산국도 소비국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과도하게 에너지공급을 통제해서도 안된다”며 “서로 윈-윈하면서 세계 에너지 시장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협력 이니셔티브를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미 지역과 중국 셰일가스, 동시베리아 석유와 가스 자원개발에 동북아가 공동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역내 전력망과 가스배관망, 송유관 등 에너지 인프라 상호 연계 환경 구축 등을 제안했다. `에너지 헌장조약` 같은 통일된 법적·제도적 기반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에너지 경제 모델 전환에 대해서는 “창의적 아이디어와 과학기술, IT를 접목하는 창조형 에너지경제 모델로 패러다임을 전환, 에너지 절약과 환경개선 노력이 새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 에너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며 “스마트그리드, LED, 친환경 자동차 등 에너지 신기술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신기술이 창업과 벤처 비즈니스로 이어지도록 해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대다수 국가 에너지 정책과 제도는 화석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에너지 자원의 합리적 배분과 효율적 사용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에너지 가격체계와 규제를 조정하고 청정에너지 산업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며 에너지 정책과 제도의 대전환을 촉구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