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6500억 투자 세계최고 수준 ESS 구축

한국전력이 오는 2017년까지 6500억원을 투자해 세계 최고 수준의 ESS(에너지저장장치)를 구축한다. 한전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ESS 종합 추진계획`을 수립,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총 6560억원을 투자해 한전 변전소에 ESS를 단계적으로 설치한다고 20일 밝혔다.

한전이 구축하는 ESS는 △주파수 조정 △피크감소 △신재생 출력 안정 등 세 가지 역할에 초점이 맞춰졌다. 우선 주파수 조정에 전체 투자비의 95%인 6250억원을 투입한다. 전력당국은 주파수 조정을 위해 일부 발전기에 전체 출력의 5%를 예비력으로 보유토록 하고 있다. 생산단가가 가장 싼 석탄화력발전소가 24시간 예비하는 용량이 50만㎾에 달한다. 때문에 여름과 겨울철 전력 피크 시 이를 보완하고자 액화천연가스(LNG) 복합화력 등 비싼 발전기를 추가로 가동하는 실정이다.

한전은 ESS를 활용해 주파수 조정용 전력을 따로 예비할 필요가 없어 석탄화력의 생산 전력 100%를 시장에 공급한다는 복안이다. 한전은 우선 내년 5만㎾ 규모의 주파수 조정용 ESS를 설치하고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그 규모를 50만㎾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에 따른 국가편익도 연간 3500억원, 전력구입비용 절감액이 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한전은 추산했다.

피크감소용 ESS 설치에는 86억원이 투입된다. 수용가가 심야시간대 값싼 전기를 저장했다가 주간 피크시간대 사용, 전기요금을 절감하는 방식이다. 한전은 계약전력 1000㎾ 이상 사업소 14개소에 ESS를 설치키로 했다. 피크-심야시간대 요금차 확대 등이 담긴 전기요금 체계 개편 시기에 맞춰 대상을 늘릴 방침이다.

풍력·태양력 등 신재생에너지 출력 불안정과 전압 변동을 보완해 전력 품질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ESS 설치분야에는 224억원을 투자한다. 한전은 “전력 분야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ESS 산업 육성에 전환점을 도모함은 물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도별 투자계획 (단위: 억원)

한전, 6500억 투자 세계최고 수준 ESS 구축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