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는 소프트웨어(SW)정책연구소가 독립기관으로 설립되지 않은 주요 원인으로 예산 부족을 꼽는다. 새로운 기관 설립을 위한 법·제도의 부재, 일정 지연 등을 이유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부설기관으로 세웠다는 정부 입장과는 다른 분석이다.
SW정책연구소 예산으로 볼 수 있는 올해 미래창조과학부 SW 정책연구 비용은 15억원 전후 수준이다. 독립기관으로의 활동은 애초에 불가능한 수준이다. 최근 상암으로 거처를 옮긴 NIPA 전자문서사업단의 사무실(서울 송파구 가락동 NIPA 본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타 비용은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는 게 미래부 측 설명이다.
내년 SW 정책연구 비용도 20억원 수준이다. 9명이 충원되는 점을 고려하면 결코 넉넉한 수준이 아니다. 추가 예산이 편성되지 않는 한 내년에 독립기관이 되는 것 역시 사실상 불가능하다.
공공기관 한 관계자는 “예산이 더 있었으면 처음부터 독립기관으로 설립도 가능했을지 모른다”며 “NIPA 부설기관으로서의 한계는 미래부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SW혁신전략 추진에 투입되는 3609억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인력양성과 연구개발(R&D) 부문이다. 현황 파악과 정책 수립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는 점에서 우선순위가 잘 못 됐다는 게 업계 평가다.
민간의 관심과 투자 부족도 문제라는 분석이다. 정부 예산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민간 기업의 투자를 병행했으면 처음부터 독립기관이 탄생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기업이 자금을, 정부가 일부 예산과 행정적 지원을 맡아 독립적인 정책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 설립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SW정책연구소 관련 예산은 향후 필요하다면 더 늘릴 수 있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독립기관이 돼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의하며 지금 상황에서도 되도록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배려하겠다”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